Emission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in a briquette combustion
- Alternative Title
- 연탄 연소가스 중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및 위해성 평가
- Abstract
- 연탄연소가스 중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및 위해성 평가
이 석 형
부경대학교 대학원 지구환경공학연협동과정
요 약
연탄 사용 시 발생하는 유해대기오염물질 (hazard air pollutants ; HAPs)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연탄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중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배출 특성을 조사하고, 배출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을 발암성 화합물과 비발암성 화합물로 구분하고,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각각의 유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해대기오염물질 측정 및 분석을 위하여 소형 연탄난로를 이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연소실험을 실시하였다. 27개 유해대기오염물질을 선정하고, 열탈착 튜브를 이용하여 시료 채취 후, 열탈착 시스템을 갖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출된 화합물 대상 유해대기오염물질은 Benzene을 비롯한 BTEX 화합물이 지배적인 화학종으로 조사되었다. 각 실험 회차의 평균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BTEX 화합물이 배출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해당 화합물은 착화 후 연소가 안정화되기 전,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는 구간에서 대부분 배출되었다. 연소 초기에 고농도로 배출되는 BTEX화합물을 비롯한 유해대기오염물질은 연소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출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도 구간별 배출되는 화합물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400~500℃ 구간에서는 주로 toluene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성 화합물이 나타났고, 연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500℃이상의 구간에서는 benzene을 제외한 대부분의 비발암성 화합물의 배출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연소 초기 배기가스에 노출 될 경우 연소 중기보다 발암성 화학종에 노출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판단된다.
연소 온도와 유해대기오염물질 농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유해대기오염물질 농도와 BTEX화합물 농도 그리고 기타 화합물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정계수 값, R2은 각각 0.3976, 0.4019 그리고 0.3144 로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발암성 및 비발암성 화합물과 연소 온도의 관계에서도 결정계수 값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소 온도에 따라 배출 농도를 예상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탄 연소 시 발생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을 노출기간에 따라 각각 평가하였다. 위해성 평가는 조사된 대기오염물질 화합물의 농도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물질 별 유해 정도에 대한 정보 및 독성 수치 평가 자료를 결합하고,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 계수를 산출하여 Monte Carlo simulation 방법으로 최종적인 위해도를 검증하였다.
오염물질에 대한 정보의 확률분포와 추정을 사용하여, 선택된 각 화합물 및 노출빈도 등의 자료를 사용하여 100,000회 반복 모의를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위해성평가는 발암성 물질인 Benzen, Naphthalene의 경우, 초과 발암 위해도 (Excess cancer risk)를 산정하여 평가하였고, Toluene의 경우 비발암 위해도 (Hazard quotient) 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선택된 화학종에 각각 1년, 5년, 10년 노출되었을 경우, Benzen은 10년 동안 노출되었을 경우에 1.55E-6의 초과 발암 위해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Naphthalene과 toluene의 초과 발암 위해도와 비발암 위해도는 각각 제시된 허용 위해도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Author(s)
- 이석형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risk assessment briquette combus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8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8849
- Alternative Author(s)
- SEOKHYUNG L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공학학ㆍ연협동과정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CHAPTER Ⅰ Introduction 1
1. Background and motivation 1
2. Objective of the study 9
CHAPTER Ⅱ Experimental design and method 11
1. Experimental briquette properties 11
2. Sampling method 12
2.1 Hazardous air pollutants sampling 15
3. Instrumental analytical method 17
3.1 Hazardous air pollutants analysis 17
CHAPTER Ⅲ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APs 20
1. Briquette combustion 20
2. Emission concentration comparison 24
2.1 Total HAPs concentration 24
2.2 Emission concentration with combustion time 31
2.3 Combustion temperature change with time 33
3. Correlation between combustion temperature and emission concentration 36
3.1 Comparison between HAPs and BTEX concentration 36
3.2 Comparison between carcinogenic and non-carcinogenic HAPs 38
CHAPTER Ⅳ Risk assessment of HAPs 40
1. Process of risk assessment 40
2. Monte Carlo simulation for risk assessment 44
2.1 Monte Carlo simulation 44
2.2 Exposure factor and dose-response assessment 45
2.3 Exposure assessment 47
2.4 Risk assessment method 48
3. Risk assessment by Monte Carlo simulation 49
3.1 Representative HAPs compounds for risk assessment 50
3.2 Analysis result for risk assessment 52
CHAPTER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57
References 62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공학연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