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water harvesting in a new residential area in North Bujumbura, Burundi
- Abstract
- 물은 인간의 삶에 필요한 자원으로서 지구상 모든 국가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깨끗한 물을 얼마나 이용할 수 있는가는 인간의 기본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권리이다. 아프리카 Burundi의 경우 안정된 수자원 공급을 위한 지금까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구증가로 인한 물 수요 증가와 기후변동으로 인한 물 공급 불안정성으로 충분한 물을 공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urundi의 새로운 주거지역인 북 Bujumbura지역의 안정된 물 공급을 위한 빗물수화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대상지역의 2008 물 공급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1인당 물 사용량, FAO에서 제시한 사하라사막 이남 지역의 물 권장량인 35L와 20L를 이용하여 물 수요량을 계산한 후 6개 지역의 물수지를 계산하였다. Cibitoke와 Ngagara지역은 인구당 20L의 물을 사용할 때, 각각 5.9%와 11.9%의 물 부족을 겪으며 Buterere, Kinama, Gihosha, Kamenge에서도 물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빗물수화시스템이 물 부족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8년부터 2028년까지매년 2.4%의 인구성장률에 따른 물 수요량 변화에 따른 빗물이용 전후의 물수지 변화를 추정하였다. 지붕면적이 작아 물수확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인 경우 건조시기에 부분적으로 물 부족이 발생하였지만, 1인당 35L의 물 사용에 있어서도 전체 지역의 물 수지는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물 저장 및 분배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계절적 분배와 지역적 안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면 추가적인 물 공급 시설의 건설 없이도 연구 지역의 인구증가에 따른 물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MFURANZIMA KHERIA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88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692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생태공학과
- Advisor
- 성기준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Information 1
1.2 Purpose of the study 1
1.3 Literature review 5
1.3.1 Water scarcity 5
1.3.2 Rain Water Harvest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the world 6
1.3.3 The Management of a Rain Water Harvesting System 8
1.3.4 Roofing Material 8
1.3.5 Rain Water Quality 8
1.3.6 The water-store 10
1.3.7 Collection coefficient and storage efficiency 10
2. Materials and Methods 11
2.1 Study area 11
2.2 Methodology 13
2.2.1 Water demand, Supply and Rain water harvesting potential 13
3. Results and Discussions 17
3.1 Current water demand and supply in the Study area 17
3.1.1 Water demand using 20l 17
3.1.2 Current water use 18
3.1.3 Water demand using 35L in 2008 19
3.2 Rain water harvesting potential in 2008 20
3.3 Rain water harvesting potential in 2018 22
3.4 Rain water harvesting potential in 2028 24
3.5 Contribution of rain water harvesting in the study area 26
3.6 Costs analysis of a rain water harvesting system installation 40
4. Conclusion 42
5. References 44
Acknowledgement 4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생태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