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거주구에서 발생하는 굴뚝효과와 Door opening force의 연관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experimental study between door opening force and stack effect on the accommodation of the offshore plant
- Abstract
- 해양플랜트 거주구가 고층화 됨에 따라서 거주구 내외부 온도차이에 따른 굴뚝효과(연돌효과, Stack effect) 영향이 가속화
되고 있다. 그 결과 해양플랜트 인도 후 해양플랜트 거주구 내부에 압력변화가 발생하여 도어 슬래밍, 알람 오작동 등의 문제
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플랜트 거주구 설비 및 크기가 유사한 실험모델을 채택하여 해양플랜트 거주
구에서 굴뚝효과가 발생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얻은 실험데이터를 기반으로 내외부 온도
차이에 따른 문의 개폐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계산할 수 있는 실험식을 제안함으로써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한 문의 개폐력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 Author(s)
- 김정훈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폐쇄력 굴뚝효과 연돌효과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664
- Alternative Author(s)
- Junghoon Ki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 Advisor
- 금종수
-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 2장 기초 이론 4
2.1 굴뚝효과(연돌효과, Stack effect) 4
2.1.1 굴뚝효과의 정의 4
2.1.2 굴뚝효과 영향 요인 5
2.1.3 굴뚝효과 이론식 5
2.2 중성대(NPL, Natural pressure level) 6
2.2.1 중성대의 정의 6
2.2.2 중성대 이론식 7
2.3 문의 개폐력(door opening force)의 정의 및 이론식 8
2.3.1 문의 개폐력의 정의 및 이론식 8
제 3장 문제 사례 9
3.1 굴뚝효과에 의한 해양플랜트 거주구 문제 사례 9
제 4장 실험 장치 구성 및 실험 방법 11
4.1 실험 개요 11
4.2 측정 장비 11
4.3 실험 모델 12
4.4 실험 장치 구성 및 방법 13
4.4.1 건물 내외부 압력차이 계측 13
4.4.2 건물 내외부 온도차이 계측 14
4.4.3 문의 개폐력 계측 15
4.4.4 인입 풍속 및 외풍 계측 16
4.4.5 실험 대상 선정(사전실험) 17
제 5장 실험 결과 및 데이터 분석 19
5.1 실험 결과 19
5.1.1 Parameter & value 19
5.1.2 내외부 온도 차이에 따른 압력 변화 20
5.1.3 내외부 압력 차이에 따른 문의 개폐력 변화 21
5.1.4 내외부 온도 차이에 따른 문의 개폐력 변화 23
5.1.5 엘리베이터 동작 영향 및 문의 개폐력 변화 24
5.2 결과 정리 26
5.2.1 온도 차이 변화에 따른 굴뚝효과 압력구배 실험식 26
5.2.2 압력변화와 문의 개폐력 변화 실험식 27
5.2.3 엘리베이터 동작에 따른 문의 개폐력 변화 실험식 28
5.2.4 엘리베이터 동작에 따른 굴뚝효과 압력구배 변화 29
5.2.5 온도 차이 변화에 따른 문의 개폐력 변화 예측 실험식 29
5.2.6 실험식 계산결과와 일반식 계산결과 비교 30
제 6장 결 론 32
참고문헌 34
감사의 글 3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냉동공조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