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담체 내 Allyl Isothiocyanate의 방출에 따른 식품 유래 박테리아의 생육억제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Allyl Isothiocyanate Released from Matrix on Growth Inhibition of Food borne Bacteria
Abstract
본 논문은 여러 담체로부터 방출되는 AITC (Allyl isothiocyanate)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식품 유래 박테리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굴 패각 (Oyster shells), PEG (Polyethylene glycol), 다공성 실리카(Mesoporous silica: SBA-15, MCM-41)를 흡착담체로 사용하였다. 굴 패각 분말은 굴 양식장에서 회수하여 소성시킨 후 제조하였으며, AITC는 굴 패각과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시켰으며, PGSS (Particles from Gas Saturated Solution) 공정을 이용하여 PEG와 중합 후 미립자 형태로 제조하였다.
소성된 굴 패각은 g당 225 mg의 AITC를 흡착하였으며, 이 결과는 소성과정이 기공 형성에 기인됨을 확인하였다. 소성된 굴 패각의 항균 활성 실험에서는 1% 농도에서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에 대해 3∼5 log10 CFU/mL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AITC가 흡착된 소성된 굴 패각은 1% 함유 시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 모두 사멸시킨 결과는 AITC와 굴 패각의 항균활성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AITC와 PEG를 1 : 5의 비율로 하여 제조된 입자는 한천확산법 뿐만 아니라 증기항균실험에서 모든 박테리아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AITC 증기의 MID (Minimum inhibitory dose) 결과는 표준 AITC에서 405∼810 μg/disc, 생성된 PEG 입자에서 12∼20 mg/disc를 보였고, AITC 증기 항균실험에서는 AITC에 노출 72시간 경과 후 E. coli에서는 항균활성이 높지 않았으나, B. cereus, S. aureus, P. putida, S. typhimurium는 표준 AITC에서 3 log10 CFU/mL, 생성된 PEG 입자에서 4 log10 CFU/mL를 나타냄으로써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EG는 PGSS공정을 통해 입자를 제조하였을 경우 AITC를 운반하는 매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공성 실리카인 SBA-15와 MCM-41은 각각 538 mg/g, 478 mg/g의 AITC 흡착량을 나타냈으며, AITC 증기 항균실험결과 E. coli에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고, B. cereus, S. aureus, P. putida, S. typhimurium에 대해서는 노출 100시간 경과 후 1∼2 log10 CFU/mL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SBA-15, MCM-41로부터 AITC가 방출되는 시간은 상온에서 120시간, 180℃에서 20분이 걸렸으므로 PGSS공정을 통해 PEG로 다공성 실리카의 캡슐화를 진행할 경우 AITC의 운반능력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항균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과 항균력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담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AITC를 자체항균력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굴 패각에 흡착시켜 필름을 제조할 경우 보다 나은 기능성 항균필름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uthor(s)
한정호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9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707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전병수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목차 iii
그림차례 viii
표차례 xiii


Ⅰ. 서 론 1
Ⅱ. 연구 배경 7
1. Allyl isothiocyanate(AITC) 7
2. 굴 패각(Oyster shell) 10
3. Polyethylene glycol(PEG) 14
4. 다공성 실리카(Mesoporous silica) 16
5. PGSS 공정(Particles from Gas Saturated Solution) 20
5.1.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s, SFs) 20
5.2. 초임계 이산화탄소(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24
5.3. 입자제조분야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활용 24
5.3.1. 초임계용액 급속확산법(RESS) 28
5.3.2. 초임계 안티솔벤트법(SAS) 28
5.3.3. 기체포화용액을 이용한 입자제조법(PGSS) 29
5.3.4. 중합체 입자 제조 방법 선택 29

Ⅲ. 재료 및 방법 30
1. 재료 30
2. 실험방법 31
2.1. 소성된 굴 패각 담체 제조 31
2.2. 소성된 굴 패각 담체에 AITC 흡착 33
2.3. PGSS공정을 이용한 AITC 함유 PEG 중합체 합성 36
2.4. Mesoporous silica(SBA-15, MCM-41)에 AITC 흡착 39
2.5. 박테리아 준비 42
2.6. 항균실험 44
2.6.1. 항균활성 44
2.6.2. Disk Inhibition Zone (DIZ) method 46
2.6.3.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method 48
2.6.4. Minimum Inhibition Dose (MID) method 50
2.6.5. AITC 증기 항균실험 52
2.7. 특성분석 54
2.7.1. Scannning electron microscopy(SEM) 분석 54
2.7.2. Particles size analysis(PSA) 분석 54
2.7.3. Fourier-transform infrared measurements(FTIR) 분석 54
2.7.4. Brunauer-Emmett-Teller(BET) 분석 54
2.7.5. 색도측정 55
2.8. AITC 방출 및 GC-MS를 이용한 휘발성 화합물 분석 55
2.8.1. HP-SPME(Headspace-Solid Phase Micro Extraction) 분석 55
2.8.2. 휘발성 화합물의 GC-MS 분석 56

Ⅳ. 결과 및 고찰 58
1. 굴 패각(Oyster shell) 58
1.1. 소성된 굴 패각(Calcined oyster shell) 58
1.1.1. SEM image 58
1.1.2. 입자 크기 분포 61
1.1.3. 굴 패각의 비표면적 및 기공크기 63
1.2. AITC 함유 굴 패각 65
1.2.1. AITC 흡착 65
1.2.2. FT-IR 분석 69
1.2.3. 색도 측정 71
1.2.4. 항균활성 73
1.2.5. AITC 방출 76
2. Polyethylene glycol(PEG) 80
2.1. AITC 흡착 80
2.2. SEM image 83
2.3. FT-IR 분석 85
2.4. 색도 측정 87
2.5. 항균실험 89
2.5.1. Disk Inhibition Zone (DIZ) 결과 89
2.5.2.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결과 92
2.5.3. Minimum Inhibition Dose (MID) 결과 94
2.5.4. 제조된 미립자로부터 AITC 방출에 따른 항균효과 96
2.6. AITC 방출 100
3. Mesoporous silica(SBA-15, MCM-41) 104
3.1. AITC 흡착 104
3.2. FT-IR 분석 107
3.3. 색도 측정 110
3.4. 항균 활성 112
3.5. AITC 방출 116

Ⅴ. 결 론 123
제 언 124
참고문헌 125
요약문 145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