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울산․경남지역 창업기업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과거 고도성장에서 높은 성과를 이루어 냈던 대기업 중심의 대한민국의 경제구조는 2000년대 세계경제의 저성장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에서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창조경제를 정부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중 창업기업은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새로운 고용의 창출과 부가가치의 창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창업기업의 경우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국내 내수시장에서의 안정적인 거래처의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의 5천만 소비시장에서의 치열한 기업들 간의 경쟁에서 창업기업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해외시장의 진출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국내 창업기업의 약3%정도만이 해외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선정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이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전략수립을 위하여 기존의 수출성과 결정요인과 차별적인 창업기업만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하여 수출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이중 과거 연구에서 중요시 되었던 수출성과요인과 창업기업들만의 차별성이 높은 수출성과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실질적인 창업기업들이 수출전략의 수립과 실무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에 소재한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하여 창업기업의 수출역량 요인을 기업의 외부환경요인과 기업의 내부역량요인 그리고, 창업기업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성과요인은 수출액 증가율과 신규바이어의 접촉증가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지에 대한 신뢰성 검증과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업기업의 경우 기존의 수출성과요인과의 차별성이 존재하였으며, 창업기업의 특이요인으로 선정하였던 창업자의 역량보다는 온라인 마케팅활용역량에 대한 창업기업들의 수출성과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업기업의 경우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한 해외시장에서의 수출성과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창업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온라인 마케팅의 활용을 통한 보다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Though economic structure of Korea which is conglomerate-oriented has achieved productive outcome with rapid growth in the past, it has faced difficulties with low growth in 21st century. As an alternative for economic stimulation of Korea, a government has focused on a creative economy, and as a core of creative economy, the start-up corporations are expected to play a role of creating employment and added value.
However, for a substantive creative corpora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able custom in domestic market even if it has creative idea and technology. It is difficult for creative corporations to create stable profit while competing with corporations in domestic market of fifty million consumers. To solve such problem, although securing competitiveness through expansion of overseas market is required, only 3% of domestic creative corporations have pushed forward with the plan targeting foreign market.
This study has analyze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orporation which is differed to decision factors of existing export result to establish strategy for creative corporations to enter foreign markets. To do this, decision factors of export result has analyzed based on creative corporations of Busan, Ulsan, and Kyugnam
To this end, the study has separated factors of creative corporation's export capability as a factor of external environment of corporation, a factor of internal environment of corporation, and a characteristic factor of creative corporation based on creative corporations located at Busan, Ulsan, and Kyungnam. And survey has practiced by defining performance factors as increase rate of export amount and increase in contact with new buyers, and a reliability verification, a factor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on survey have practiced.
As a result, creative corporations have discrimination with existing factors of export result, online marketing utilization capability has influenced on export result of creative corporations compared with competence of founder which was selected as a specific factor of creative corporation. In case of creative corporations, effective results on export result at foreign market are expected, if online marketing is utilized and it is also expected that enhanced results can be earned through online marketing for future overseas expansion of creative corporations.
Author(s)
안덕호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창업 수출 온라인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01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398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최순권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ⅳ
ABSTRACT ⅴ

I.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창업기업의 수출성과요인 연구의 배경 1
2. 창업기업의 수출성과요인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범위 및 구성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구성 6

II. 이론적 배경 8
제1절 기업의 수출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기존연구 8
1. 외부 환경요인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8
2. 내부 기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11
제2절 기업의 FTA활용에 따른 수출성과에 관한 기존연구 16
제3절 창업기업과 수출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기존연구 17
1. 창업기업의 일반특성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17
2. 온라인 마케팅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III.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22
제1절 연구모형 22
제2절 가설의 설정 23
1. 수출시장성장률 23
2. 수출시장 경쟁강도 24
3. 기업의 경쟁력 25
4. FTA관련 원산지 활용역량 26
5. 창업자 역량 27
6. 온라인 마케팅활용 28
IV. 연구방법 29
제1절 표본 선정 및 자료수집방법 29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29
1. 종속변수 29
2. 독립변수 30

V. 분석결과 33
제1절 창업기업 표본의 특성 33
1. 일반적 현황 33
2. 수출현황 35
제2절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7
1. 신뢰성 37
2. 타당성 38
제3절 가설 검증 40
1. 상관관계 분석 40
2. 연구 가설 검증 41

VI. 결론 4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47
제2절 연구의 시사점 49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50



참조문헌 52
설문지 5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