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산림생태계의 구성요소와 서비스의 정량화를 위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As a result of human's behaviour, ecosystem services are declining in present. This impact of the reason is turning back to human lives. In order to realiz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cosystems and humans, it is important that we take education about ecosystem. This study identified the components and services of the forest ecosystem which accounts for 64% of Korea’s land. The forest ecosystem has various benefits called the ecosystem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forest ecosystem through the quantification of ecosystem components and services. Therefore, we identify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ecosystem by System ecology. This study of quantitative, systemic and scientific approach will be a way for promoting the importance of the forest ecosystem.
Author(s)
조효선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02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6883
Alternative Author(s)
Hyo Seon J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태공학과
Advisor
이석모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01

Ⅱ. 이론적 배경 03
1. 생태계 03
가. 정의 03
나. 구성 요소 03
다. 기능 및 서비스 06
라. 생태계와 인간사회의 관계 14
2. 국내 산림생태계 16
3. 산림의 생태교육 현황 17
4. 시스템 생태학 21

Ⅲ. 산림생태계 구성요소와 서비스 목록 선정 22
1. 연구 방법 22
가. 산림생태계 구성요소 목록 22
나. 산림생태계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 23
다. 산림생태계 서비스 목록 28
2. 연구 결과 및 고찰 30
가. 산림생태계 구성요소 목록 30
나. 산림생태계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 31
다. 산림생태계 서비스 목록 34

Ⅳ. 산림생태계 구성요소와 서비스 정량화 36
1. 연구 방법 36
가. 산림생태계 구성요소 정량화 36
나. 산림생태계 서비스 정량화 40
2. 연구 결과 및 고찰 44
가. 산림생태계 구성요소 정량화 44
나. 산림생태계 서비스 정량화 50

Ⅴ. 결론 58

참고문헌 60

APPENDIX 6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태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