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조화의 정량화에 관한 평가방법 연구
- Abstract
- 색채조화의 정량화에 관한 평가방법 연구
- 공간환경의 색채를 중심으로 -
장 석 정
부 경 대 학 교 대 학 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요 약
인간은 오감각 중 시각에 80% 이상을 의존한다. 그 시각 속에서도 어떤 대상을 인식할 때 색(color), 형태(from), 질감(texture)의 순으로 인지한다. 결국 색이 인간의 감성에 가장 큰 자극을 주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색의 배색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우리는 그동안 다양한 시도를 진행해 왔다. 국가적,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 뿐 아니라 개개인의 성향과 선입견에 의해 색에 대한 반응이 달라지고, 기후와 빛의 조사량에 따라서도 그 반응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전문가조차도 동일한 배색을 가지고 어제와 오늘의 판단이 달라지곤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색채조화를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평가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정량적 분석에는 색채조화의 좋고 나쁨을 수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미도(Aesthetic Measure)를 사용한다. 이렇게 수량화된 미도값을 통해 각각의 배색조합이 얼마만큼의 값을 갖는지 파악하고, 이 값을 통해 배색조화의 좋고 나쁨의 순위를 정교하게 나누게 된다. 둘째, 의미분별법의 EPA모형을 활용하여 감성의 정량화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색채조화의 정량화 연구는 해안마을을 대상으로,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의 배색조화를 그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중에서도 자치단체나 주민협의회가 건축물의 지붕색과 몸통색을 선정하여 추진 중인 통영시 동피랑마을과 부산시 감천문화마을, 남해 가천 다랭이마을을 선정하였다. 이 세 곳의 대상을 분석해 현재 환경색채의 배색이 어떤 값을 갖는지, 또한, 사전 분석된 해외사례의 해안마을과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배색관계의 정량화를 위해 각각의 해안마을에서 인공환경인 건축물의 몸통색과 지붕색, 자연환경인 숲색과 바다색 총 4개의 평균색을 추출해 미도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이 결과값과 디자인전문가들의 배색조화 평가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값과 비교 분석해 미도값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의미분별법을 통한 감성의 정량화를 위해 해안마을 이미지를 통해 수집한 215개의 감성어휘와 IRI색채연구소(2008)가 제시한 감성어휘 140개를 참고하여 최종 15개 쌍의 감성어휘를 도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의미분별법의 EPA모형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EPA모형으로 5점 척도조사를 통해 7개 연구대상에 대한 감성의 정량화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미도값과 감성값 결과에 대한 디자인전문가의 만족도조사를 통해 정량화 평가방법에 대한 신뢰성과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색채조화를 평가하고 분석함에 있어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정량화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색을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의 평가 이전에 스스로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 판단 근거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색채조화의 수량화와 감성의 정량화 분석값에 대한 최종적 만족도조사에서 결과값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정량화 평가방법이 색채조화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한 가지 과학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정 전문가에 의한 배색분석과 색채계획, 그리고 채색결정 이전에 정량적 평가방법을 이용해 색채조화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판단 할 수 있다면 색을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판단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uthor(s)
- 장석정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미도 의미분별법 색채조화 정량화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03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2916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3. 연구대상 4
4. 연구흐름도 5
Ⅱ. 이론적 고찰 6
1. 색채조화론 6
가. 먼셀의 색채조화론 6
나.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 8
2. 공간환경의 색채조화 11
가. 자연색채 12
나. 환경색채 13
3. 정량화 기법 14
가. 미도 14
나. 미도계산법 15
다. 의미분별법 19
Ⅲ. 선행연구 분석 24
1. 색채조화의 정량화 24
가. 미도를 통한 색채조화의 정량화 연구 24
나. 농촌마을 환경색채에 대한 정량화 연구 25
다. 미도를 이용한 정량적 이미지 검색법 연구 26
2. 감성의 정량화 26
가. 감성평가를 위한 어휘체계 연구 26
나. 감성평가지표 설계 연구 28
다. 감성측정에 따른 실내벽면 색채 연구 29
Ⅳ. 정량화분석 연구 설계 29
1. 정량화분석 연구 설계 29
2. 연구대상지 색채계획 33
가. 통영시 동피랑마을 33
나. 남해군 다랭이마을 34
다. 부산시 감천문화마을 34
Ⅴ. 색채조화의 정량화 분석 36
1. 분석진행 개요 36
2. 해외사례의 미도 38
가. 그리스 산토리니 38
나. 이탈리아 아말피 40
다. 미국 오렌지카운티 42
라. 일본 스오 오오시마쵸 44
3. 국내 연구대상의 미도 46
가. 통영시 동피랑마을 46
나. 남해군 다랭이마을 48
다. 부산시 감천문화마을 50
4. 색채조화의 정량화 결과 52
Ⅵ. 색채조화 감성의 정량화 분석 55
1. 분석진행 개요 55
2. 감성언어 추출 및 분석요인 완성 55
3. 척도조사 및 분석방법 62
4. 연구대상별 감성의 정량화 63
가. 그리스 산토리니 63
나. 이탈리아 아말피 64
다. 미국 오렌지카운티 65
라. 일본 스오 오오시마쵸 66
마. 통영시 동피랑마을 67
바. 남해군 다랭이마을 68
사. 부산시 감천문화마을 69
5. 색채조화 감성의 정량화 결과 70
Ⅶ. 정량화 평가방법의 효용성 71
1. 미도 결과값과 감성 결과값 비교 71
2. 종합한 결과의 만족도 조사 72
Ⅷ. 결론 74
1. 연구결과 74
2. 정량화 평가방법의 운영방안 및 기대효과 74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5
영문요약 77
참고문헌 80
부 록 84
감사의글 90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