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쿼트 동작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
- Abstract
-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는 시간적 여유가 많아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을 영위하고 있으며, 건강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스포츠센터를 다니거나 각종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다(이종훈, 남기정, 김재필, 2013). 반면, 이와 같이 편리한 생활에서 오는 시간적 여유는 일상생활 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기회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삶의 편리함은 일반인들의 운동량 부족에 의한 성인병 유발의 빈도를 현격히 증가시켜 사회적 문제로써도 대두 되고 있다(정현경, 2006).
대부분 현대인들은 이러한, 운동부족 해결과 신체의 지방 감소를 통해 외모를 좋게 보이기 위하여 헬스장을 찾고 있으며 그 중, 웨이트 트레이닝은 가장 쉽게 선택하는 종목이라 할 수 있다(이종훈, 등, 2013). 최근에 들어 근육발달 및 근력을 향상시키고 신체의 체지방을 감소시켜 건강한 신체를 추구하는데 효과적인 운동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일반인들의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이석인, 등, 1993).
웨이트 트레이닝은 예전부터 운동선수들이 경기력 향상을 위해 실시할 뿐만 아니라 부상으로부터 재활 및 교정치료 등에 필수적으로 실시되고 있었으며(김일곤, 이종호, 차진, 2005), 바벨이나 덤벨과 같은 다양한 웨이트 기구를 사용하여 골격근을 자극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균형 잡힌 몸매를 소유하도록 해주며, 적절한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상체와 하체의 균형을 향상시켜 주고 근육의 발달이 빈약했던 부위를 보완 또는 강화시켜 주는 대표적인 무산소성 운동이다(최소라, 2007; 신희철, 2004).
웨이트 트레이닝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운동에는 스쿼트, 데트리프트, 벤치프레스, 오버헤드 프레스, 바벨 로우, 딥스 등이 있다. 이러한 운동들은 대근육 운동으로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함께 참여하는 복합 운동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근육이 형성되며, 파워 향상에도 효과적이다(김용현, 2010).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의 필수 요소로써 하지근 근력운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움직임이 필요하여 하지근을 사용하여 왔고 지금도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또한 인간의 신체부위에서 하지는 발과 다리를 포함하며, 신체활동을 하거나 신체를 똑바로 서게 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전희종, 2006). 그 중, 가장 기본적인 무릎 운동 중 하나인 스쿼트는 달리기, 점프, 들어올리기 동작에 있어 중요한 근육인 엉덩이, 대퇴, 몸통 근육을 단련시킬 뿐 아니라 골밀도, 인대, 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하체단련의 가장 중요하며 기본이 되는 운동이며, 일상생활에서의 기능도 향상시키지만 이 운동을 통해서 운동선수들의 기록 향상과 부상방지 등 의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운동이다(Escamilla, R. F, 2001; Cappozzo, Felici & Figura, 1985).
스쿼트 운동 시 자세는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중량의 바벨을 정한 후 다리를 어깨 넓이보다 약간 크게 십 일자로 벌려 어깨 위에 얹고 바벨바를 잡으며 가슴과 허리를 편 상태를 유지한 후 무릎 아래 부분과 허벅지가 서로 직각을 이룰 때까지 앉아 서서히 일어선다. 스쿼트 동작 시 호흡은 앉을 때 숨을 들이마시고, 일어 설 때 숨을 내쉬어야 한다. 가장 주의할 점은 운동 중에 상체를 구부리면 다리가 아니라 허리로 무게가 전달되므로 항상 상체를 똑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런 스쿼트 동작은 장점이 있는 반면 무거운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운동으로써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요추와 무릎관절 등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Cappozzo, A.,, 1985)
또한, 일반인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지도자 없이 헬스클럽 등의 트레이너들에게 간단한 기구 사용법만을 숙지한 후에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렇게 잘못된 사용법과 무게로 저항성운동을 실시하였을 경우에는 근골격계의 상해를 입게 된다.
이처럼 잘못된 스쿼트 동작은 몸통의 신전력과 압축력이 요추에 작용하여 요추부 부상을 유발할 수 있고(Cappoxxo et al., 1985), 자신에게 맞지 않는 무게나 방법으로 스쿼트를 실시했을 때 자세가 불안정하면 그로 인해 등하부와 무릎 등에 상해를 입기가 쉽다(Fry, 1993; O'Shea, 1985; Williams, 1980). 이에 스쿼트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지관절의 움직임과 요추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와 자신에게 맞는 무게로 스쿼트를 실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박상호, 2010).
스쿼트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Fry, A. C., Smith, J. C & Schilling, B. K(2003)는 스쿼트 운동 시 시상면에서 무릎이 발끝 앞보다 나오게 되면 무릎에 많은 부하를 줌으로써 무릎에 상해를 줄 수도 있다고 하였으며, 무릎의 위치에 따라 무릎 토크와 힙 토크를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이상우, 문영진, 은선덕(2011)은 스쿼트 운동시 슬관절 굴곡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심성 수축이 일어나고 슬관절을 신전하기 위해서는 구심성 수축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이성도(2009)의 스쿼트 운동 시 중량이 하지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스쿼트 동작 시 중량의 무게가 커짐에 따라 하지 근육활동이 유의하게 증가 차이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남윤걸(2014)의 스쿼트 동작 시 바패트 착용이 발의 압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바패트가 숙련자의 스쿼트 동작 시 처럼 양발 압력분포 차이를 줄어들게 하여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였다.
이처럼 스쿼트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많은 학자들이 스쿼트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스쿼트 동작 시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운동역학적 변화들을 살펴보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근활성도 등의 운동역학적 현상만을 분석하거나 관절각도 변화와 같은 운동학적 현상만을 측정하는 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웨이트트레이닝 보조 장비 중 하나인 웨이트 벨트 착용 전.후에 따라 나타나는 하지각도와 발의 압력 변화에 대한 운동역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쿼트 동작 시 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하지의 운동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차이점을 살표보고 운동수행에 있어 일반인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Author(s)
- 김봉수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06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830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김용재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의 문제 5
4. 연구의 제한점 5
5. 용어 및 약어 정의 6
Ⅱ.연구방법 8
1. 연구 대상 8
2. 실험 도구 및 용도 9
3. 측정 항목 9
4. 실험 방법 10
5. 자료수집 및 분석 12
6.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구간 및 국면 15
7. 통계 처리 16
Ⅲ. 연구결과 17
1.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소요시간 17
2.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하지 각도 18
3.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양발의 압력분포 22
Ⅳ. 논 의 26
1.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소요시간 26
2.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하지 각도 27
3.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양발의 압력분포 29
Ⅴ. 결 론 31
참고문헌 33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 8
표 2. 측정도구 및 용도 9
표 3. 관절점의 좌표화 12
표 4.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전.후에 따른 국면별 소요시간 17
표 5.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전.후에 따른 1구간의 하지 각도 변화 19
표 6.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전.후에 따른 2구간의 하지 각도 변화 20
표 7.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전.후에 따른 3구간의 하지 각도 변화 21
표 8.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전.후에 따른 양발 압력분포비율변화 23
표 9.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전.후에 따른 양발 최대압력분포변화 24
그림 목차
그림 1. 실험 장비 배치도 11
그림 2. 인체관절 중심의 좌표화 11
그림 3. 신체분절의 각도 정의 13
그림 4.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구간 및 국면 15
그림 5.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국면별 소요시간
17
그림 6.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1구간의
하지각도변화 19
그림 7.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2구간의
하지각도변화 20
그림 8.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3구간의하지
각도변화 22
그림 9.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양발의
압력분포변화 23
그림 10.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양발의
압력비율변화 2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