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농도와 최대가시거리 변화에 따른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면 색상별 인지성능평가
- Abstract
- When a fire accident takes place in a large building, occupants must be evacuated to a long distance and complex interior structure which can interfere with correct way-finding.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use exit sign for facilitating effective evacuation of occupants. However, smoke, blackout, and other various factors limit the field of view of evacuees and lower efficiency of exit sign.
In this study, colour-related standards for exit sign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was analyzed. As a result, found that these regulations are mostly based on dark environment,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evacuation situations. accordingly field experiments were done to get perceptive effects of hue of exit signs according to smoke-density and maximum visible distance.
In this field experiment, a translucent eye-patch was used to simulate limited field of view caused by smoke. And exit sign of seven colour(red, orange, yellow, green, blue, navy, and purple) which can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visible light areas,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As a result, in average, exit sign of navy colour have 16.20% higher perceptive effects than exit sign of green colour.
- Author(s)
- 오륜석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07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051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소방공학과
- Advisor
- 최준호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3 선행연구 고찰 5
가. 국내 선행연구 5
나. 국외 선행연구 7
1-4 용어 정리 9
제 2 장. 인간의 피난·인지특성과 피난구유도등 설치기준 13
2-1 연기발생과 인간의 피난행동 13
가. 연기의 정의와 특성 13
나. 연기농도와 가시거리 16
다. 인간의 피난행동특성 19
2-2 색상의 시각적 효과와 인지 프로세스 23
가. 색의 시각적 효과 23
나. 프루키네 효과(Purkinje Effect) 25
다. 색상 인지 프로세스 27
2-3 피난구유도등의 정의와 설치기준 28
가. 피난구유도등의 정의 28
나. 국내 형식승인 및 설치 기준 29
다. 국외 관련 기준 32
제 3 장. 피난구유도등 표시면색상별 인지성능 실험의 절차와 방법 34
3-1 실험시나리오 설계 및 기준 설정 34
가. 실험시나리오 설계 34
나. 연기농도 레벨과 최대가시거리 설정 37
다. 피난구유도등의 제원과 표시면 식별기준 설정 41
3-2 실험대상지와 피실험자 특성 47
가. 실험대상지의 건축공간적 특성 47
나. 실험대상지의 실내조도 49
다. 피실험자 특성과 선발기준 53
3-3 시나리오별 연기발생 상황을 모사하기 위한 불투명안대 제작 방법 54
가. 불투명안대의 제작원리 54
나. 실험시나리오에 따른 불투명안대의 분류 57
다. 불투명안대의 최대가시거리 측정방법 59
제 4 장. 연기농도와 최대가시거리의 변화에 따른 피난구유도등 표시면 색상별 인지성능 평가 61
4-1 피난구유도등 표시면의 색상별 인지성능평가 61
가. 시야제한이 없는 상황 61
나. 연기농도 Level 1의 상황 64
다. 연기농도 Level 2의 상황 71
라. 연기농도 Level 3의 상황 78
4-2 피난구유도등 표시면색상 설계기준 제안 85
제 5 장. 결 론 88
참 고 문 헌 9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소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