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전수컷 자성발생성 킹넙치 생산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전암컷 3배체 집단을 생산하기 위해 전수컷 자성발생성 킹넙치를 유도하였다. 킹넙치의 세포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DNA 함량은 0.71 pg/haploid cell로 나타났고, 적혈구의 핵의 장경 및 단경은 3.62±0.14 μm 및 2.40±0.11 μm, 표면적 및 부피는 6.83±0.44 μm2 및 10.97±1.14 μm3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킹넙치의 염색체는 일반 넙치와 동일하게 2n=48개로 확인되었고, Ag-NORs 분석에서 24쌍의 차단부 염색체(acrocentric chromosome) 중 가장 크기가 큰 한쌍의 차단부 염색체의 장완 중간부위가 NOR positive로 확인되었으며, 암·수간 및 개체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성발생성 2배체는 자외선 조사법(4,000-4,500 erg/mm2)을 이용하여 유전적 불활성화된 정자와 정상 난을 인공수정한 뒤, 수정란을 2℃에서 45분간 저수온 처리함으로써 생산되었다. 수정 후 46-48시간 후, 자성발생성 2배체 처리군의 부상란 717알 중 정상적인 난발생을 하는 배체는 621알, 반수체 특징을 가지는 배체는 96알로 약 86.6%의 유도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성발생성 2배체 처리군의 DNA 함량 및 염색체 수는 대조군과 동일하게 0.71 pg/haploid cell 및 2n=48개로 관찰되었으며, 적혈구 핵의 표면적 및 부피는 6.4±1.0 μm2 및 10.1±2.3 μm3으로 나타났다.
전수컷 자성발생성 2배체 생산을 위해 부화 후 37일부터 40일간 웅성화 호르몬 첨가사료(17α-methyltestosterone 1 μg/g) 공급과 고수온 처리(25℃)를 수행하였고, 이들의 성전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부화 후 6개월 된 12개체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소는 외형상으로 일반 넙치 수컷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정소 조직 내에 성숙한 정자들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유도된 전수컷 자성발생성 2배체 킹넙치를 이용하여 전암컷 3배체 집단을 대량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uthor(s)
강경림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글로벌수산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11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071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글로벌수산대학원
Department
글로벌수산대학원 양식학과
Advisor
남윤권
Table Of Contents
목 차

목차 Ⅰ

표 목차(List of Tables) Ⅲ

그림 목차(List of Figures) Ⅳ

영문요지(Abstract) Ⅵ

I.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1. 실험어 3
2. 방법 3
2-1. 킹넙치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3
2-1-1. DNA 함량 분석 3
2-1-2. 적혈구 세포 및 핵의 크기 측정 3
2-1-3. 염색체 수 분석 3
2-1-4. Nuclear organizer regions (NORs) 분석 4
2-2. 자성발생성 2배체 유도 4
2-2-1. 정자의 불활성화 및 저온처리 4
2-2-2. 후기 발생배체 및 부화자어 관찰 4
2-2-3. 후기 배체 발생 관찰 및 초기생존율 분석 5
2-2-4. 자성발생성 2배체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5
2-3. 자성발생성 2배체 킹넙치 집단의 성전환 유도 5
2-3-1. 웅성화 호르몬을 첨가한 사료의 제조 5
2-3-2. 성전환을 위한 수온 조절 및 호르몬 첨가 사료 공급 5
2-3-3. 생식소의 조직학적 관찰 6

Ⅲ. 결과 7
1. 킹넙치의 세포유전학적 특성 7
1-1. DNA 함량 분석 7
1-2. 적혈구의 세포 및 핵의 크기 9
1-3. 염색체 수 분석 11
1-4. 킹넙치의 Ag-NORs 분석 13
2. 자성발생성 2배체 유도 14
2-1. 자성발생성 2배체 유도 조건 확인 14
2-2. 후기 발생배체 관찰 및 초기생존율 분석 16
2-3. 세포유전학적 분석 18
3. 자성발생성 2배체 킹넙치 집단의 성전환 유도 20
3-1. 생식소의 조직학적 관찰 20

IV. 고찰 21

Ⅴ. 요약 25

감사의 글 26

참고문헌 2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수산대학원 > 양식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