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폼롤(Foam Roll) 운동이 고령여성의 활성산소, 혈관탄성, 고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12주간의 폼롤 운동 전과 후를 비교하여 고령여성의 활성산소, 혈관탄성, 고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거주하는 60∼75세의 고령 여성을 대상으로 특별히 건강에 이상이 없는 사람으로 실험군 10명 비교군 10명 등 총 20명으로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한 폼롤 운동 프로그램은 폼롤을 이용한 12가지 종목을 구성하여 총 12주 동안 주 3회, 운동시간은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 총 50분 동안 실시하였다. 본 운동 1∼4주차는 부위별 자가근막 이완운동이고, 5∼8주차는 자가근막 이완과 저강도의 체중부하 운동으로 진행하였고, 9∼12주차는 자가근막 이완과 중강도의 체중부하 운동을 주관적 운동강도 RPE를 사용하여 11∼15 정도의 강도로 부위별로 1∼2분 2set씩 실시하였다.
1. 활성산소

활성산소는 운동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폼롤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별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혈관탄성

혈관탄성은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폼롤 운동 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별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고관절 가동범위

1) 고관절 굴곡은 운동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폼롤 운동 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별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고관절 신전은 운동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폼롤 운동 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과 시점별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Author(s)
김자봉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16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2819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신군수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의 문제 5
4. 연구의 제한점 5
5.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폼롤 운동의 발달 및 특성 8
2. 고령자의 특성 10
3. 운동과 활성산소 12
4. 운동과 혈관탄성 14
5. 운동과 고관절 가동범위 16

Ⅲ.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측정 함목 및 도구 19
3. 측정방법 19
4. 실험계획 및 방법 21
5. 자료처리 방법 26

IV. 연구결과 27
1. 활성산소 27
2. 혈관탄성 30
3. 고관절 가동범위 32
V. 논 의 36
1. 활성산소의 변화 36
2. 혈관탄성의 변화 38
3. 고관절 가동범위의 변화 40

VI. 결 론 42

참고문헌 44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체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