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중 후각형용사 대조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ntrast of smell adjective in Chinese and Korean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어 일곱 가지 기본 후각어 ‘향기롭다, 고소하다, 구수하다, 노리다. 구리다, 비리다, 지리다’와 중국어의 여섯 가지 기본 후각어 ‘香,臭,腥,膻,臊,馊’를 대조함으로써 양국 후각어의 정확한 이해와 쓰임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 지를 대조를 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후각을 표현하는데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방법, 선행연구, 대조언어학의 바탕 및 중국어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후각 형용사의 유형을 대조를 하였다. 한국어 후각 형용사의 내부구조는 비교적 복잡하며 중국어는 형태 변화가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양국의 후각 형용사의 내부구조 다르게 나오는 원인은 양 언어 계통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본질적 특성이 다른 것이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후각 형용사의 형태를 대조하였다. 한국어 나쁜 냄새에 비해 좋은 냄새의 후각 형용사가 더 많이 존재하였다. 그에 반해 중국어 의 경우에는 좋은 냄새와 나쁜 냄새의 후각 형용사의 수량이 비슷하였다.
제 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후각 형용사의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를 대조를 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후각 형용사의 기본 의미는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香'와 ‘향기롭다'와 ‘고소하다/구수하다'는 다대일의 대응관계를 보였다. 확장 의미인 경우 다양한 후각 형용사가 모두 확장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 후각 형용사에 나타나는 확장의미가 중국어에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제 5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후각 형용사의 관용표현을 제시하였다. 한국어에서는 후각 형용사를 들어간 관용표현을 수량이 비교적으로 적는 편이다. 중국어에서는 후각 형용사를 들어간 관용표현을 살펴보면 한국어보다 수량이 더 많았다. 그 중에서 한국어 관용표현 ‘구린 입 지린 입'과 중국어 관용표현 ‘臭嘴'는 대조가 되며 한국어 관용표현 ‘비린내(가) 나다'와 중국어 관용표현 '乳臭未干'은 대조가 된다.
제 6장에서는 1장부터 5장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Olfactory substances are detected by ciliary cell which consists of olfactory epithelium, these substances excite the sense of smell and enter to nasal cavity in the gaseous state. The molecular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substances melted by mucilage secretion olfactory epithelium and stimulate olfactory cells, therefore we recognize the smell.
All the smell of the earth are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a culturalarea, the food they eat. South Korea and China have a different food culture. Even the same smell can cause different responses by age, gender and psychological state.
The field of the smell requires attention from other to study such as neurology, chemistry and nee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re are not many olfactory language studies, especially compare to other sense studies. And compare to other comparative studies of sensitive language, it is really hard to find the Korean-Chinese olfactory adjectives study.
Thetwocountries classified differently olfactory language and the number of vocabularies is different. Korean is an agglutinativelanguage, it has diachronic chang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form and meaning of the morpheme. But Chinese is an isolating language and has less diachronic changes, so it has clear boundary between the morphemes.
Therefore, Korean has a variety of olfactory language, but Chinese doesn’t have it as much as Korean. For example, the olfactory language of Chinese '香' has comprehensive meaning. In Korean it means '향기롭다', '구수하다', '고소하다'. In other words, Korean '향기롭다', '구수하다', '고소하다' and Chinese '香' have the many-to-one corresponding relation. When Chinese learn '구수하다', '고소하다' , it must be really difficult to learn. So, Contrast Analysis between Korean and Chinese olfactory language will be an interesting study.
People who learn a foreign language, they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ir nativelanguage. All languages have their intrinsic language structures, the same meaning can become a variety of expressions in different languages. Some expressions of native language don’t have any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foreign language. In this case it is much difficult to learn than if the foreign language has the same or similar expressions. The
The more the mother tongue and a foreign language are different, the more difficult to learn a foreign language. Most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tend to understand a foreign language to evoke the phenomenon in their native language. Unconsciously the mother tongue interfere a foreign language.
Contrast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an help the Chinese native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also can help the Korean native learners who study Chinese. I would like to help the Chinese native learner on how to understand and use Korean olfactory language. And delineate some Korean and Chinese olfactory language.
This study aims to delineate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ontemporary Korean and Chinese olfactory adjectives based on the lexical semantics. The object of study include the seven kind of basic olfactory adjectives ‘향기롭다, 고소하다, 구수하다, 노리다, 구리다, 비리다, 지리다’ and the six of the basic olfactory adjectives ‘香,臭,腥,膻,臊,馊’.
I analyzed the olfactory adjectives types and forms of Korean and Chinese, and als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urthermore, I delineated primary meaning and meaning extension, idiom of Korean and Chinese olfactory adjectives. The meaning and usage of each olfactory language refers to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hinese refers to Modern Chinese Dictionary. Examples are sentences from each county’s dictionary and literature.
这世界上的各种气味,由于文化差异的不同对于气味的认识也是不同的。并且根据性格、年龄、心理状态等等的不同对于气味的认知和反应也有好有坏。所以说“气味是客观事物的主观表现”。本论文主要对现代韩语中的7种基本嗅觉词 ‘향기롭다, 고소하다, 구수하다, 노리다. 구리다, 비리다, 지리다’ 和现代汉语中的6种基本嗅觉词 ‘香,臭,腥,膻,臊,馊’ 进行对照分析,从而找出两国嗅觉词的共同点和差异点,帮助正在学习韩语的中国学生和学习汉语的韩国学生准确的理解和使用两国这些嗅觉词。
在第一章中,提出了本论文的研究目的和方法。并且对先行研究和汉语的特征进行了分析。
在第二、三章中,对韩中两国嗅觉形容词的类型进行了分析和对照。韩语嗅觉形容词的类型相对比较复杂,这是跟语言系统密不可分的,也是为什么会出现不一样类型嗅觉词的最重要的原因所在。韩语是交替语,根据母音子音交替现象的不同出现很多派生词。而汉语是孤立语,内部结构没有产生变化。经过分析对照,在韩语中表示香味不好闻的嗅觉词远远比表示香味好闻的嗅觉词多得多。而在汉语里这两者的数量实际上是差不多的,并且在汉语中香和臭互为反义词,而韩语则不然。例如,在韩语中表示香的“고소하다, 구수하다“和表示臭的“노리다”就不互为反义词。而在汉语中香的含义比较广泛,植物和食物好闻都可以称之为“香”,而韩语却分得很细。植物花卉的香是“향기롭다”,炒芝麻、香油的“香”用“구수하다”来表达,而大酱汤散发出来的香味则用“고소하다”来表达。正因如此,刚开始学习韩语的中国学生在这方面的学得上是困难的,因为无法准确的去理解它们的区别在哪儿。
在第四章中,对韩中两国基本嗅觉形容词的基本语义和扩张语义进行了对照分析。在基本语义方面,没有太大的差别。但是汉语里的“香”和韩语里的“향기롭다' 和 ‘고소하다/구수하다” 则呈现出多对一的对等关系。在扩张语义方面,不是所有的嗅觉词都出现语义扩张,并且最大的差异点是两国嗅觉形容词呈现出不同的扩张语义。通过例文的展示,准确的把握两者之间的相同点和不同点,这对于理解和学习两国语言的学生来说是有很大的帮助的。
在第五章中,对韩中两国基本嗅觉形容词的习惯用语表现进行了对照分析。相对汉语来说,韩语中嗅觉形容词的习惯用语表现相对少些。其中韩语“구린 입 지린 입”和汉语中的‘臭嘴';韩语“비린내(가) 나다”和汉语“乳臭未干”,在习惯用语表现上面有相似的特点。
第六章是从第一章到第五章的最后整理以及结论部分。
Author(s)
허페이링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후각형용사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17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1705
Alternative Author(s)
HE PEILI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채영희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Ⅴ

Ⅰ. 서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 4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6
4. 이론적 배경 7

Ⅱ. 후각 형용사의 유형 10
1. 한국 후각 형용사의 유형 11
2. 중국 후각 형용사의 유형 16
3. 한·중 후각 형용사의 유형 대조 18

Ⅲ. 한·중 후각 형용사의 형태 20
1. 한국 후각형용사의 기본형 및 파생형 20
2. 중국 후각형용사의 기본형 및 파생형 30
3. 한·중 후각형용사의 형태 대조 43

Ⅳ. 한·중 후각형용사의 기본 의미 및 확장의미 대조 47
1. 한·중 후각 형용사의 기본의미 대조 47
2. 한·중 후각 형용사의 확장의미 대조 50

Ⅴ. 한·중 후각 형용사의 관용표현 대조 61
1. 한국 후각 형용사의 관용표현 62
2. 중국 후각 형용사의 관용표현 64
3. 한·중 후각 형용사의 관용표현 대조 68

Ⅵ. 결론 69
참고문헌 72
국문초록 76
중문초록 7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