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Russia and Korea and the Determinants of Their Export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러시아와 한국의 국제무역 경쟁력 비교와 수출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bstract
1991년 소련이 붕괴한 후 러시아가 기존의 계획경제제도에서 시장경제제도로 전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옐친 대통령을 비롯한 러시아의 리더들이 경제시스템 전환 기간에 적당한 정책을 펼치지 못 한 결과,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이 하락하였고 러시아 국민의 경제생활에도 크게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부터 러시아 정부가 국내 경제 회복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조치를 취했다. 특히, 천연자원의 대량 수출 덕분에 GDP가 상당히 증가했고 러시아 국민의 생활 수준도 개선됐다. 당시 한국은 전망이 좋은 국가들 중 하나였고, 그렇기에 1990년대부터 오늘까지 러시아와 한국은 서로 밀접한 경제 및 정치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 지난 26년 동안 러시아의 천연오일과 가스, 그리고 알루미늄이 한국의 주요 수입 품목들인 한편, 첨단기술제품과 자동차는 러시아의 주요 수입 품목들이다.
두 국가간 교역 규모를 더욱더 확장하기 위하여 각 나라의 국제 수출 경쟁력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5가지 현시비교우위지수(RCA)모형들을 응용하여 연구 대상국들의 국제수출경쟁력을 평가해 봤다. 응용하는 모형은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그리고 2014년 – 총 8년간을 포함하여 그 기간에 러시아와 한국 국가간 교역에 주요 품목들인 10종의 HS코드를 선택해서 계산해 봤다. 출산된 결과에 따르면, 러시아가 HS27, HS72 및 HS76 품목의 수출경쟁력이 한국보다 우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은 나머지 7종 품목- HS03, HS39, HS73, HS84, HS85, HS87, 그리고 HS89의 수출 경쟁력이 러시아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위에 본 논문의 대상국들인 러시아와 한국 각국의 수출 과정에 어떤 요인들이 어떤 식으로 수출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무역중력모형(Gravity Model)이라고 부르는 모형을 응용하였다. 본 논문은 러시아와 한국 각국의 그들의 주요 교역 국가들 수출요인들을 측정했다. 측정기간은 1999년부터 2014년까지인 16년간을 포함했다. 또한 상대 국가로서 러시아와 한국 각국의 세계 주요무역국들 중 30개국, 55개국, 그리고 75개국을 선발하여 측정을 이루었다.. 러시아의 중력모형은 다음과 같은 설명변수들을 내포했다. 러시아와 무역하는 상대국의 통합 국내총생산 규모, 거리, 러시아의 일인당 국민 소득, 상대국의 일인당 국민 소득, 실질 환율, 유가, 공동국경, 경제 파트너십입니다. 하우스만 검정을 통하여 측정결과를 해석하기 위하여 무선효과회귀 분석 (Random Effect)이 고정효과회귀분석(Fixed Effect)보다 적절한 모형인 것으로 알려졌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러시아와 상대국의 통합 국내총생산이 긍정적인 영향을, 국가간 지리적인 거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러시아의 일인당 국민 소득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한편 상대국의 일인당 국내 총생산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의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질 환율 변수가 부정적이었지만 유의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어서 유가, 공동국경, 경제 파트너십 변수들이 각각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유의한 값을 나타냈다.
한국의 중력모형은 한국과 상대 무역국의 통합 국내 총생산, 지리적 거리, 한국의 일인당 국민소독, 상대 무역국의 일인당 국민소득, 실질환율, 외국인직접투자(FDI), 그리고 APEC 변수들을 포함하였다. 하우스만 검정 (Hausman test) 결과에 따라서 측정 효과를 해석하기 위하여 무선효과회귀 (Random effect)를 채택하였다. 한국과 상대국의 통합 국내 총생산이 한국산 제품들의 수출량을 증가시키고, 지리적 거리는 수출량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상대국의 일인당 국민소득이 각각 한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실질환율, 외국인직접투자 및 APEC변수들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Berdikobilov, Nodirbek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Russia Korea Economy Export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ices Trade Gravity Model Pooled OLS regression Random Effect Fixed Effect Hausman test 러시아 무역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19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0722
Affili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대학원 국제지역학과
Advisor
고종환
Table Of Contents
Chapter I Introduction 1
1. Background of the Russian economy 1
2. Objectives of the study and research questions 4
3. Methodology 6
4. Structure of the study 6
Chapter II Russia’s economy 8
1. Economic overview of Russia 8
2. Russia’s oil economy and diversification 13
3. Global integration of Russian economy 17
Chapter III Russia-South Korea Relations 22
1. Overview of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South Korea 22
2. Trade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South Korea 25
Chapter IV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Using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ices 30
1. Introduction 31
2. Literature review of RCA indices 31
3. Introduction of applied RCA indices 35
4. Data 38
5. Empirical findings of RCA indices estimations 39
5.1 Empirical results of RCA 1 40
5.2 Empirical results of RCA 2 42
5.3 Empirical results of RCA 3 44
5.4 Empirical results of RCA 4 45
5.5 Empirical results of RCA 5 47
6. Conclusion 49
Chapter V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xports Using Gravity Model 52
1. Introduction 52
2. Trade of Russia and Korea 52
3. Literature review of gravity model 58
4. Methodology 65
5. Applied models 67
6. Data 70
7. Findings of Russia’s export estimations 72
8. Findings of Korea’s export determinants 83
9. Conclusion 89
Chapter VI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93
1. Conclusion 93
2. Policy recommendations 93
References 98
Appendix 10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지역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