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utomatic determination of seismic phase arrival time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지진파 위상 도착시간 자동 결정
Abstract
P와 S파의 도착시간 결정은 미소지진 감지 및 지진원 요소 역산의 중요한 인자이다. 분석자가 수동으로 지진파 도착시간을 결정할 경우에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지진파형마다 일관성이 없는 도착시간을 결정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지진파 위상 도착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5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연속파형에서 특성함수 (CF)를 이용하여 연속파형 자료에서 특성함수를 이용하여 최초 이벤트를 선언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정규화 포락 함수 (BK)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P파 위상 도착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3성분의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3축 회전을 적용하는 것이다. 네 번째 단계는 자동으로 S파 위상 도착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P파 도착시간과 S-P시간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Wadati Diagram을 이용하여 잘못 결정된 도착시간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을 제주도 지역에 설치된 20개의 이동식 광대역 지진계로부터 얻어진 연속파형 자료에 적용하여 자동으로 이벤트 감지 및 위상 도착시간의 결정은 정확한 수행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Author(s)
KIMMINOOK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지진파 위상 자동 결정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1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1202
Alternative Author(s)
김민욱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Advisor
강태섭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1
Ⅱ. Theory and Method 5
1.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seismic phase arrival-time 5
(1) Earle and Shearer's method(ESM) 6
(2) Modified Allen's method(MAM) 7
(3) Modified Baer and Kradolfer's method(MBKM) 8
(4)Comparison of three autopicking methods 9
2. Initial event declaration 12
3. Automatic picking of P-phase arrival-time 14
4. Rotation of three-component seismograms 18
5. Automatic picking of S-phase arrival-time 22
6. Final event declaration 25
Ⅲ. Data and Result 28
1. Seismic network 28
2. Data 32
3. Determination of hypocenter 35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43
Reference 45
국문 초록 4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