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mpent on Submerged Marine Debris Management System by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Clean-up Index
- Alternative Title
- 공간 분포 분석과 정화지수를 통한 해양침적쓰레기 관리시스템 개발
- Abstract
- 인간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면서, 지구 환경은 점점 오염되어 가고 있다. 해양쓰레기의 경우, 육상에서 버려진 쓰레기들이 강이나 하천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바다로 유입되거나, 해상에서 어로 활동 중 발생한 쓰레기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양쓰레기 중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유령어구(Ghost fishing)이다. 어획고를 높이기 위해 무분별하게 설치한 그물과 조업 후 수거하지 않거나, 유실된 그물들이 해저 바닥에 침적되어 유령어구가 된다. 어류와 같은 해양 생물이 유영 중 유령어구에 걸려 폐사하게 되면, 주변 해양환경을 오염시키고 다른 생물들의 먹이로 오인하거나 유인하는 역할을 하여 또 다른 생물이 유령어구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반복된다. 이로 인한 어획량 손실은 약 4∼7톤/척으로 연간 어획량의 약 2∼5% 범위로 추정된다. 해외에서는 1970년대부터 해양환경에 대한 많은 연구와 국제적 조약을 통해 문제의식을 고취시켰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폐기물 양을 중심으로 해양폐기물 수거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침적쓰레기의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및 수거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화지수를 개발하였다. 1999년부터 2015년까지 항만과 어항을 대상으로 해저 바닥에 침적된 쓰레기 현황을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양침적쓰레기의 공간 분포는 항만의 경우, 동해와 남해, 서해 해역 전체적으로 그물로프류가 약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고 있으며, 해양침적쓰레기의 성상별 순위는 전 해역에서 그물로프류, 철제류, 타이어류 순으로 나타났다. 어항의 경우, 동해는 타이어류가 약 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남해는 목제류가 약 33%, 서해는 그물로프류가 약 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성상별 순위는 항만과 같이 그물로프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해양침적쓰레기 정화지수 개발을 위해 항만과 어항의 특성에 맞는 인자들을 선정하였다. 항만과 어항별로 선정된 인자들의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해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사용하였다. AHP 방법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설문 조사 결과를 자료로 사용한다. AHP 방법으로 산출된 가중치와 항만과 어항별 인자들을 정규화 시킨 값을 이용하여 해양침적쓰레기 정화지수(Clean-up Index of Submerged Marine Debris)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항만의 경우 부산항(0.81), 인천항(0.76), 통영항(0.48) 순으로 정화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항의 경우 신수항(0.40), 저동항(0.27), 김녕항(0.17) 순으로 정화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화지수가 높게 나타난 지역은 낮게 나타난 지역보다 더 오염되어 있다는 의미로써 정화지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빠른 시일 내에 정화사업을 실시해야 한다.
해양침적쓰레기와 관련하여 과거에 조사한 자료와 연구지역 주변 환경 자료 등과 개발된 정화지수를 이용으로 해양침적쓰레기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WebGIS 기반으로 구축된 해양침적쓰레기 관리시스템은 정화지수를 기반으로 수거 대상지 예측 및 관리가 가능하여 해양침적쓰레기 수거 계획 수립 시 활용 가능할 것이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화지수를 우리나라 전체 항만 및 어항에 확대 적용하여, 정량적인 값으로 서로 비교한 후 항만 및 어항의 정화 사업 진행 시 의사 결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Author(s)
- ParkJaeMoon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해양침적쓰레기 GIS 공간분포 정화지수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0747
- Alternative Author(s)
- 박재문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dvisor
- 윤홍주
-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Research objective 5
1.3 Literature review 6
1.4 Research flow 10
Chapter 2. Data and Methods 11
2.1 Data 11
2.2 Methods 21
Chapter 3.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Submerged Marine Debris 28
3.1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Port 28
3.2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Fishing port 34
Chapter 4. Calculation of Clean-up Index of Submerged Marine Debris 39
4.1 Selection of CISMD factors 39
4.2 A case of the Port 57
4.3 A case of the Fishing port 64
4.4 Results of CISMD calculation of the Port and the Fishing port 68
Chapter 5. Development on Submerged Marine Debris Clean-up Index Management System 72
5.1 Development of Database for Collected Data 72
5.2 Development on Clean-up Index Management System 73
5.3 Clean-up Index Management System Configuration 77
Chapter 6. Suggestion on Improvement Plan for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83
6.1 Prevention Measures for Submerged Marine Debris Inflow 83
6.2 Plan of Submerged Marine Debris Monitoring 89
6.3 Suggestion on Marine Debris Management Plan 94
Chapter 7. Conclusion 100
References 103
Appendix 111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