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Health Diplomacy
- Alternative Title
- 세계보건외교 : 부룬디의 정책적 시각을 중심으로
- Abstract
- 세계보건기구 (WHO)는 갑작스러운 의료상황에 대비한 세계적인 보건외교(GHD)를 강조했다. 이것은 세계적인 공공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를 잘 알고 이해하는 것뿐 아니라, WHO의 회원국 안에서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소와 우려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총괄적인 활동을 돕기위한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GHD는 지역적, 국가적, 대륙적으로 일어나는 모든 수준의 이슈들을 포용해왔다. 유럽연합(EU)의 여러나라들은 우선적으로 보건의 문제를 통합해왔고 정책들을 수립해왔다. 국가적 차원의 GHD는 여러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해 동기부여 되었다. 특히 국경을 넘는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조치와 국민건강을 지키는 일이 주요 관점들이었다. 솅겐조약(Schengen)은 EU회원국들이 OLSO Ministerial Declaration같은 몇몇의 선언을 통해 GHD를 설립하도록 도왔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보건외교에 희망을 준다. GHD회원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경우 외에도 이것은 아직 개발이 되지 못한 국가들에게도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이것은 WHO에 의해 정의된 GHD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GHD의 관점에서 부룬디 정부가 WHO에서 권고하고 있는 정책을 수용하는 범위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이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우리는 GHD에 소속되어있는 나라들의 경우를 연구했다. 우리는 선진국인 두 나라 스위스와 노르웨이와 개발도상국 브라질을 선택했다. 아프리카연합(AU)은 GHD에 가입하도록 권고했다. 그리고 아프리카연합은 아프리카의 각 나라들이 GHD진행과정을 계속해서 감독해 나가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사례연구로 아프리카 동쪽의 부룬디를 고려했다. 아프리카의 GHD감독관인 아프리카연합 또한 고려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특별하게 나의 모국인 Burundi에 집중했고 언제 GHD가 실현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우리는 부룬디가 멤버인 동아프리카연합(EAC)에서 부룬디가 국경을 넘는 질병과 싸우는 주요한 나라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부룬디는 다른 EAC 나라들 중 아주 작게 관련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부룬디의 주변의 나라와 EAC의 멤버가 아닌 콩고가 국경을 넘는 질병의 발생에 대해 아주 위협이 된다는 것을 드러냈다. 이것은 EAC에 비교했을 때 부룬디와 콩고가 포함되어있는 지역들이 갑작스러운 유행성 질병에 대항해 싸우는 장치가 부족한 사실때문이다. Kingdon의 Multiple Stream모델은 GHD에 소속되어있는 다른 나라를 이끈 요인을 파악하는데 기여했다. 덧붙여, 이 모델은 지역적 국가적 향상을 위해 얼마나 강하게 GHD에 소속되어야 하는지를 EAC 나라들과 Burundi정부에게 권고하기위해 사용되었다.
- Author(s)
- SABUKIZA,Yvette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Burundi 보건외교 Global Health Diplomacy 부룬디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4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221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Advisor
- 차재권
-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1.1 Motivation of study 1
1.2 Research Objectives 4
1.3 Research Methodology 5
2 Scope of the Study 8
Chapter 2 Literature Review 9
2.1 Defining and Understanding GHD 9
2.2 GHD: How and Why Health is integrated into Foreign Policy 12
2.3 GH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mpact 14
2.3.1 The soft power role of GHD 14
2.3.2 GHD and Peace 15
2.3.3 Corruption and GHD 16
2.4 GDH and Policy Making Theory 17
2.5.1 Multiple Streams Model of Policymaking 19
Chapter 3.GHD Country Cases 24
3.1 Introduction 24
3.2 Switzerland Health Foreign Policy 24
3.2.1 Objectives 24
3.2.2 Measures 28
3.2.3 Actors 30
3.3 Norway Health Foreign Policy 30
3.3.1 Objectives 31
3.3.2 Measures 32
3.3.3 Actors 33
3.4 Brazil Case Study 33
3.4.1 Objectives 33
3.4.2 Measures 34
3.4.3 Actors 35
3.5 African Perspective on GHD 35
3.5.1 African Union 36
3.5.2 East African Community 38
Chapter 4 Findings Discussion 40
4.1 Case studies findings 40
4.2 Motivating Reasons for Adopting GHD 42
4.2.1 Kingdon Multiple stream theory and GHD policy adoption 42
4.3 Case Studies similarities 45
4.4 Case study non- similarities 46
Chapter 5 Burundian GHD Position 50
5.1 Burundi GHD in EAC 50
5.1.2 Analyzing EAC GHD Data 51
5.2 Adopted and non-Adopted GHD Goals by Burundi 56
5.3 Burundi GHD and the Kingdon Multiple Stream model 58
5.3.1 Problem stream 59
5.3.2 Policy Stream 60
5.3.3 Politics Stream 60
5.3.4 Policy Windows, Policy Entrepreneurs 61
5.4 Recommendations to EAC 62
5.5 Recommendation for Burundi Government 63
Chapter 6. Conclusions and Future Work 65
6.1 Conclusion 65
6.2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66
REFERENCES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