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for Agriculture in Kenya towards a Sustainable Economic Future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지속가능한 경제적 미래를 위한 케냐 농업분야의 통합적 수자원관리
Abstract
케냐는 커다란 경제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아프리카 상위 경제 국가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냐는 빠른 인구 증가 때문에 수자원에 대한 수요 충족에 있어 거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수자원 수요는 서비스 분야, 산업 분야와 농업 분야에서는 크게 발생한다. 추가적 물에 대한 수요는 생활 수준의 향상뿐 만 아니라 인구 증가의 결과로 상승하는 소비 생활에서 온다. 물은 현재 증가하는 인구의 기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천연 자원 중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의 제조업 및 경제 성장을 위해서, 수자원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물이 어느 나라에서든지 많은 산업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농업, 관광, 어업, 제조업 분야에서의 물의 중요성은 현재 많은 문헌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수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특히 농업 부문에서 케냐의 수자원의 잠재 가능성, 현재의 물소비와 미래의 물 수요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수자원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뿐 만 아니라 보다 나은 수자원 관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취하기 위해서 국제 수자원 관리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지를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편 실증분석을 통해 수자원 관리가 케냐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될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오랜 기간에 걸쳐 케냐에서는 홍수와 가뭄으로 인해 연간 약 160 억 Kshs (GDP의 2.4%)의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고 있다. 이는 케냐의 국가 경제에 심각한 제약이 되고 있다. 이 모든 비용을 피할 수는 없지만, 수자원관리와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림으로써 이러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수자원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책임감 있는 경영을 수행하고, 많은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수자원 관리에 참여함으로써 이러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T21- Kenya Model 을 이용하여 수자원 개발과 수자원 관리 향상을 통해 케냐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케냐의 수자원 개발과 수자원 관리 방법 개선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uthor(s)
Mworia, Clara Joy Kagwiria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Agriculture Water Management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ment 케냐 농업 케냐 수자원관리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0773
Alternative Author(s)
뭐리아, 클라라 조이 카귀리아
Affili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대학원 국제지역학과
Advisor
고종환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4
1.1. PURPOSE OF STUDY 14
1.2. METHODOLOGY 18
CHAPTER 2: LITERATURE REVIEW 28
2.1. WATER CRISIS IN KENYA 28
2.2. AGRICULTURE IN KENYA 37
CHAPTER 3: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42
3.1. THE ORIGINS, PRINCIPLES AND DEFINITIONS OF IWRM 42
3.2. OVERVIEW OF IWRM IN KENYA 47
CHAPTER 4: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AGRICULTURE IN KENYA 54
4.1. INVESTIGATION AND OUTCOMES USING THE CCGA PROJECT BASELINE SCENARIO 55
4.2. OUTCOME ANALYSIS OF SIMULATIONS 58
CHAPTER 5: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69
5.1. CONCLUSION 69
5.2. POLICY RECOMMENDATIONS 71
REFERENCE 73
APPENDIX 84
ACKNOWLEDGEMENT 9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지역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