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Status of Gyeongbuk coastal erosion through the analysis of aerialphotograph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항공사진 분석을 통한 경상북도 연안침식 현황
Abstract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연간 1억2천만 명 이상이 바닷가를 찾고 국민의 약 28%(약 1,400만 명)가 연안에 거주하고 있으며, 국가산업단지의 78%, 수출입 물동량의 98%를 연안이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연안실태에 관한 기초조사, 2009). 이로 인하여 산업, 항만, 주거단지 확충을 위한 대규모 매립사업, 연안항만시설 및 연안친수시설 개발 사업이 주요 연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규모 또한 방대해져 이로 인한 연안역(해안선)의 변화와 더불어 연안의 자연환경도 심각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댐, 보, 하구언 등과 같은 하천 수자원의 개발로 인한 자연토사 공급 감소 및 건설·산업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해사·규사 채취 등으로 지속적인 모래수지 감소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너울성 파랑이나 이상 파랑의 내습 빈도 및 강도도 강화되어 연안역의 침식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2013년 9월에 발표된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의 5차보고서에서 21세기말 해수면은 45∼82 ㎝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이는 4차보고서 (2007년 2월)에서 발표한 최대 59 ㎝보다 23 ㎝가 증가한 것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은 국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해수면상승은 해안후퇴 즉 침식을 가속화시키는 큰 요인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동해안 지역이 서·남해안 지역보다 연안침식이 많이 발생하여 배후지역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어 동해안 지역의 연안침식 현황을 연구하기 위하여 과거 항공사진과 최근 항공사진에서 육지와 백사장의 경계인 안선과, 백사장과 바다의 경계인 해안선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여 연안의 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침식이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연구하였다.
Author(s)
KimKiHyon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연안침식 경상북도 항공사진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6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2281
Alternative Author(s)
김기현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Advisor
윤홍주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and purposes of research 1
1.1.1 Erosion by man-made development 1
1.1.2 Erosion by climate change 2
2.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6
2.1 Research materials 6
2.2 Research methods 8
3. Research result 10
3.1 Changes in sand beach derived from shore erosion 10
3.1.1 Uljin-gun 10
(1) Hujeong Beach 10
(2) Jukbyun-port ~ Bongpyeong-ri 11
(3) Onyang-ri 13
(4) Sanpo-ri 14
(5) Osan-ri 15
(6) Deoksin-ri 16
(7) Giseong-Mangyang Beach 17
(8) Bongsan-ri 19
(9) Gusan Harbor ~ Wolsong-ri 20
(10) Jiksan-ri 21
(11) Geumeum-ri 23
3.1.2 Yeongdeok-gun 25
(1) Goraebul Beach 25
(2) Daetan-ri 26
(3) Geumjin-ri ~ Hajeo-ri 27
(4) Bugyeong-ri 29
(5) Namho Beach 30
(6) Geumgok-ri ~ Baekseok-ri 31
(7) Gyeongjung Beach 32
(8) Woncheok-ri ~ Buheung-ri 34
(9) Jangsa Beach 35
3.1.3 Pohang city 37
(1) Hwajin beach 37
(2) YoungilDae beach 38
(3) Songdo beach 39
(4) Dogu beach 41
(5) Wolpo beach 42
(6) Chilpo beach 43
(7) Guryongpo beach 44
(8) Mopo-ri 46
3.1.4 Gyeongju City 47
(1) Oryu beach 48
(2) Jeonchon·Najeong-ri 49
(3) Naa beach 50
(4) Haseo 1-ri 51
(5) Gwanseong beach 53
(6) Gampo beach 54
(7) Daebon-ri 55
(8) Bonggile Daewangam beach 56
(9) Eupcheon 2-ri 58
4. Conclusion 60
References 6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