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a New Cultivar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2' through Down-regulation of PPAR γ and C/EBP α in 3T3-L1 cell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아위느타리버섯 신품종인 '비산 2호'의 3T3-L1 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연구
Abstract
Adipogenesis는 고도로 조절되는 세포 내 공정 중 하나로서, 이 과정을 통해 지방전구세포가 지방 방울을 함유하는 지방세포로 분화되게 된다. 최근 연구들에서 adipogenesis 과정을 억제하는 것이 비만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위느타리버섯의 새로운 품종 중 하나인 ‘비산 2호’의 클로로폼 추출물 (CEBT)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adipogenesis 억제 효과를 탐구하였다. 아위느타리버섯은 새송이버섯의 변종 가운데 하나로써 항암, 항염증 등의 많은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신품종인 ‘비산 2호’의 생리활성은 아직 연구가 되어있지 않다. 이번 연구를 통해 ‘비산 2호’가 adipogenesis 과정의 주요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 γ)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 α)의 발현 억제를 통해 adipogenesis를 억제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adipogenesis를 유발하는 pathway인 IRS/PI3K/Akt 신호전달 과정을 억제하고, adipogenesis를 억제하는 β-catenin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산 2호’가 효과적으로 adipogenesis 과정을 억제하는 것을 증명하고, 이는 이 버섯이 다이어트 식품과 비만 치료제의 전구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uthor(s)
KangMinJae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Adipocyte Adipogenesis Obesity Mushroom 아위느타리버섯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7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98657
Alternative Author(s)
강민재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생물학과
Advisor
김군도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3
2.1 Sample Preparation 3
2.2 Cell Culture 3
2.3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4
2.4 Cell Viability Assay 4
2.5 Oil Red O Staining 5
2.6 Triglyceride Assay 5
2.7 Immunofluorescence (IF) Staining 6
2.8 Western Blot Analysis 6
2.9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7
2.10 Statistical Analysis 8
3. RESULTS 9
3.1 Effect of CEBT on cell viability in 3T3-L1 preadipocytes 9
3.2 CEBT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10
3.3 Effect of CEBT on the expression of key adipogenic markers 12
3.4 Effect of CEBT on the expression of adipogenesis-related factors 13
3.5 Effect of CEBT on the IRS/PI3K/Akt signaling 16
3.6 Effect of CEBT on β-catenin/GSK3β signaling 18
4. DISCUSSION 20
5. 국문초록 24
6. ACKNOWLEDGEMENT 25
7. REFERENCES 2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미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