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The Influence of L1 on L2 Pronunci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대학생의 L1 이 L2 발음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수많은 나라들과 교류하고 경쟁을 하면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필요가 아닌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면서 한국의 교육과정은 초등학교부터 영어를 필수 과목으로 인정하여 다양한 수업을 시도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내국인 선생님과 원어민 선생님이 함께 영어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실제 영어화자들이 쓰는 표현들을 직접적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말하기 중심의 실용적인 수업방안들을 지도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육과정 이후, 영어 교육은 문법과 독해에 중점을 둔 입시 교육에 맞추어지며, 또한 대학 입학 후에는 일시적이고 단기의 영어 수업을 수강하게 되고, 취업을 목표로 한 듣기와 읽기에 비중을 두는 토익과 같은 시험을 위한 영어공부에 치중하게 된다. 그렇다 보니 실제로 영어를 공부하는데 대부분 10년 이상의 긴 시간을 소비하여 듣기와 읽기 영역은 꽤 잘하고 문법적으로는 완벽한 문장을 만들어내는 학생들이지만, 말하기에 있어서 원어민 수준의 발음을 구사하는 데는 자신 없어하는 학생들이 많다.
Lenneberg(1976)은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에 따르면 인간의 언어 습득은 생물학적으로 규정된 특정 시기에만 일어나며, 그에 를따라 사춘기 이전과 이후로 비교하였을 때 사춘기 이전에는 언어환경에 노출이 되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언어 습득이 이루어지지만, 사춘기 이후의 언어습득은 특정한 노력이 없이는 힘들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필수교양 영어강의 선택교양 영어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와 한국어로 질문을 하여, 영어로 응답하도록 한 후, 녹음하여 후천적인 교육환경이 영어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영어발음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말하기 교육 방법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한국에서 영어 구사능력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현행되고있는 영어 교육과정을 소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영어 발음 및 음운체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소개, 분석하였다.
제 3장에서는 발음 및 음운체계에 근거하여 실제 응답한 학생들의 영어발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 및 교육환경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영어 인터뷰 응답 내용들을 소개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요인들이 영어 발음에 끼친 결과를 설명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4장의 분석과 결과에 대한 토론 및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 6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소개한 한국에서의 영어 교육 환경과 그의 영향을 받은 영어 발음의 문제점을 통해 앞으로 한국의 영어 발음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uthor(s)
Ham, Juliet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pronunciation Korean English L1 influence on L2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8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0848
Alternative Author(s)
함미정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Stonham, John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7
2 Literature Review 12
2.1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12
2.2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for Korean learners 13
2.3 Phonology 14
3 Methodology 16
3.1 Subjects 16
3.1.1 Early Education 17
3.1.2 University Major 17
3.1.3 Motivation 18
3.2 Design of Experiment 19
3. 3 Phonetic Analysis 21
3. 4 Challenges 22
4 Analysis 23
4.1 Nasal Assimilation/N-Insertion/Epenthesis 23
4.2 Nasal Assimilation 26
4.3 Affrication 28
4.4 Korean Forms vs. English Forms 30
4.5 Other Forms 36
5 Discussion 38
6 Conclusion 42
6.1 Further Research 44
7 References 46
8 Appendix A 48
9 Appendix B 49
10 Appendix C 5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