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오늘날 영어는 전 세계 최소 75개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제 연합(United Nation, UN)을 포함한 세계 주요 기관, 인터넷 상에서 실질적인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영어는 영어 모국어권 국가들의 지위와 힘에 의해 세계 공용어로서 자리 잡게 되었으나, 이제 비원어민 영어 화자들의 증가로 인해 각 지역별 고유한 특징을 보유한 다수의 변이형 영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따라서 영어는 이제 모국어권 국가와 화자들의 소유가 아니라 전 세계 영어 화자들에게 그 소유권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개방적인 인식과 EIL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 영어 교육 과정은 영미권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입시 중심 분위기로 인해 학생들에게 세계 영어를 접할 기회를 많이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국내 외국인 수, 다문화 가정 및 그 출신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의 영어 사용에 대한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언어태도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있는 중학생들의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학교 내 영어 학습이 어떠한 식으로 나아가야 할지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주된 연구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경남 김해시 소재 A중학교의 학생들을 학년별로 각 2학급씩 총 6학급의 18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4(2%)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183부(98%)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많은 학생들이 영어가 국제 공용어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의사소통을 위해 영어를 배워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학교와 사설 학원에서 내신과 입시에 대비한 영어 공부를 하고 있었으며, 영미권 영어 외 다양한 세계 영어에 대해 배울 기회도 거의 가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세계 영어에의 선호도에 있어서 영미권 영어에 대한 선호도가 인도, 필리핀 등 공용어권 영어에 대해 현저히 높았다. 변이형 세계 영어에 대해 선입견을 보이는 학생들이 많아 이에 대한 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식 영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선호하고 있었으나, 한국식 영어 발음보다 영미권 화자의 발음을 기준으로 삼는 것에서 학생들의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영미권 영어가 아니더라도 국제사회에서 의사소통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여기며, 미래에 영어 학습을 위해 영미권이 아닌 공용어권 국가로의 해외 연수도 생각하고 있다는 답변을 함으로써 세계 영어에 대해 열린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EIL 소유권에 대해서 학생들은 영어가 영미권 소유가 아니라 국제 사회의 모든 화자들의 것이며, 한국식 영어도 세계 영어 중 하나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이는 우리 학습자들의 언어태도가 다양한 세계 영어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할 인식 개선의 의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교육의 영어 교과 교육 과정에서 세계 영어에 대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외국어 습득을 통해 모국어와 외국어에 대한 언어태도를 형성해나가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초기청소년기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영어를 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접촉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이 세계인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과 목적으로서의 영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제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 영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동기를 부여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세계화의 흐름에 맞도록 기존의 미국식 영어 중심 교육 및 평가 제도에 대한 심도 있는 고려와 함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Author(s)
정다운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교육 국제어로서의 영어 중학생 영어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29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2762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한지원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문제 및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5
1. 국제어로서의 영어(EIL) 5
1.1 세계 영어(World Englishes)의 개념과 역할 8
1.2 세계 영어 모형 10
1.2.1 Kachru의 원형 분류 모델 11
1.2.2 Modiano의 국제어로서의 영어 모델 13
1.2.3 김명숙의 The English Pyramid 14
2. 국제어로서의 영어와 영어 교육 16
2.1 국제어로서의 영어 교육의 필요성 17
2.2 중학생 학습자의 발달 특성과 영어 교육 19
2.3 경남의 지역적 특성과 영어 교육 23
3. 선행 연구 24
3.1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한국 학습자들의 태도 25
3.2 지역별 학습자들의 영어 및 영어 교육 30
3.3 본 연구와 선행 연구의 차이점 3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33
1. 연구 대상 33
1.1 연구 대상 선정 기준 33
1.2 연구 대상의 특성 34
2. 연구 기준 및 방법 35
2.1 설문지 구성 36
3. 연구 단계 및 자료 수집 38
4. 분석 방법 및 과정 3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9
1. 응답자의 영어 학습 및 사용 환경 39
1.1 영어 학습 상황 39
1.2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학교 학습 상황 44
1.3 지역적 특성 48
2. 국제 공용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과 태도 53
2.1 원어민 및 비원어민 사용자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53
2.2 국제 공용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 60
3. 영미권, 공용어권, 한국식 영어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63
3.1 영미권 영어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63
3.2 공용어권 영어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68
3.3 한국식 영어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70
4. EIL 소유권에 대한 인식 72
4.1 영어의 다양성에 대한 태도에 나타난 영어 소유권 인식 72
Ⅴ. 결론 및 제언 75
1. 결론 75
2. 제언 77
3. 본 연구의 제한점 79
참고문헌 8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