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Comparison of jaw structure between Chromis notata, C. fumea and C. albicauda (Perciformes: Pomacentridae), using geometric morphometric analysis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자리돔, 연무자리돔 및 외집단으로 흰꼬리노랑자리돔 총 세 종의 섭이골격구조(전상악골, 주상악골, 치골, 관절골 및 각골, 하인두골)를 기하학적 형태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섭이방법과 분포차이 나아가 세 종간의 진화역사를 함께 추론하였다. 골격분석결과, 세 종은 전상악골과 치골, 관절골 및 각골의 형태에서 명확한 차이를 나타냈다. 악골차이의 결과는 이들의 섭이방식과도 연관되었다. 자리돔은 연무자리돔이나 흰꼬리노랑자리돔보다 두꺼운 아래턱을 가지고 있어 안정적인 힘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단한 먹이를 섭이하는데 용이할 것으로 보여진다. 연무자리돔은 자리돔이나 흰꼬리노랑자리돔과는 달리 긴 전상악골 상행돌기를 가져 윗턱의 전방 신출에 용이하며 얇은 아래턱은 먹이를 씹어삼키기 보다는 활동성 있는 먹이를 효율적으로 포획하는데 적응한 기능형태로 보여진다. 흰꼬리노랑자리돔의 윗턱은 자리돔과 유사한 반면, 아래턱은 연무자리돔의 형태와 비슷하였으나 대부분의 골격은 두 종보다 크고 발달되었다. 세 종은 양턱과 상하인두골은 끝이 날카롭고 얇은 원뿔니를 가지며, 새파는 수가 많고 새파 사이 간격이 좁은 형태 특징으로 보아 동물플랑크톤 섭이에 유용하도록 적응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악골 형태의 진화방향은 이들의 종분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일부 그 역사를 보여준다. 오래 전 공동기원으로부터 분화가 이루어질 때, 연무자리돔은 일찍이 열대-아열대성의 적도 쪽으로 이동하면서 종 분화가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사료되며, 반대로 자리돔은 원시 조상형이 형질을 오랜기간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분화되면서 대만에서 한국, 일본으로 북상하게 됨에 따라 연무자리돔보다는 온대와 한대에 더 적응되어 진화한 종으로 보여진다.
Author(s)
송영선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4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749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Advisor
김진구
Table Of Contents
Abstract - ii
I. Introduction - 1
1. Background - 1
2. Purpose of this study - 4
II. Materials and methods - 5
1.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 5
2. Skeletal bone dissection - 8
3. Skeletal bone description - 8
4. Geometric morphometric analysis and statistics - 9
i. Landmarks set - 9
ii. GPA (Generalized procrustes analysis) - 11
iii.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11
iv. CVA (Canonical variate analysis) - 11
III. Results - 13
1. Jaw bones composition - 13
i. Premaxilla - 13
ii. Maxilla - 14
iii. Dentary - 15
iv. Angular and retroarticular - 16
v. Upper and lower pharyngeal jaw - 16
2. Geometric morphometrics of jaw bones - 22
i. PCA - 22
ii. CVA - 31
IV. Discussion - 38
1. Relationship of jaw shape and feeding methods - 38
i. Jaw shape and function - 38
ii. Feeding methods - 44
2. Adaptation aspects during evolution - 48
V. References - 5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