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 · 중 수산자원관리 제도의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South Korea and China have an important position in Asian economies.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se two countries is close, this has a far-reaching effect on the world economy. The fishery resources have an important role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development, not only as a supplement of food resources, but also as an important sector of national econom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ishery economy, sustainable management tools are needed, legal regulation is the most effective measure.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realities of the two countries, South Korea and China have created some fisheries management system. In recent years, through constant revision, South Korea has improved its fishery management system. However, China did not make a good progress in this area. Fishery resources management system is a very backward.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 the fishery resources management of the two countries. We firstly analyze the fishery resources situation, to secondly describe the management system of each country. We finally find out the deficiency of Chinese fishery resources management system by comparing with the South Korean one and figure out how China can improve its management system by learning from South Korea.
Author(s)
이요화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한국 중국 수산자원관리제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42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1308
Alternative Author(s)
LIYAOHUA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수산경영학과
Advisor
김병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3
가. 한국의 연구동향 3
나. 중국의 연구동향 4
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4
가. 연구방법 4
나. 연구내용 5
Ⅱ. 한・중 수산자원의 현황 7
1. 한국 수산자원의 현황 7
2. 중국 수산자원의 현황 14
Ⅲ. 한・중 수산자원관리의 법적 체계 21
1. 한·중 수산에 관한 개념 해석 21
가. 수산업과 어업 22
나. 수산자원과 어업자원 23
2. 한국 수산자원관리의 법적 체계 23
3. 중국 수산자원관리의 법적 체계 24
Ⅳ. 한・중 수산자원관리에 관한 제도 27
1. 어획노력량에 관한 제도 27
가. 한국 27
(1) 면허어업 27
(2) 허가어업과 신고어업 29
나. 중국 30
(1) 어획허가증 제도 30
다. 비교 32
(1) 공통점 33
(2) 차이점 34
2. 어획량에 관한 제도 37
가. 한국 37
(1) 총허용어획량 제도[TAC제도] 37
나. 중국 39
(1) 어획한도액 제도 39
다. 비교 41
(1) 공통점 41
(2) 차이점 42
3. 수산자원 질적관리에 관한 제도 44
가. 한국 44
(1) 포획ㆍ채취금지 44
(2) 조업금지구역 44
(3) 휴어기의 설정 44
나. 중국 45
(1) 어업자원보호증식비제도 45
(2) 금어제도 (금어구/금어기) 46
(3) 하계어획금지 제도 48
다. 비교 51
(1) 공통점 52
(2) 차이점 53
4. 수산자원조성에 관한 제도 56
가. 한국 56
(1) 수산자원조성사업 56
나. 중국 57
(1) 인공증식방류와 인공어초설치 57
다. 비교 58
(1) 공통점 59
(2) 차이점 60
Ⅴ. 결론 62
참고문헌 6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수산경영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