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안전용품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Form-related Characteristics of Marine Safety Supplies :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Function with Design
- Abstract
- 기후변화와 자원고갈이라는 한계에 부딪힌 21세기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인류의 미래를 결정하는 보고는 ‘해양’이다. 특히 물이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둘러싸인 해양환경에서의 디자인을 접목한‘해양 디자인’은 해양산업에 관련된 모든 제품, 서비스 등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구조와 기능을 총체적으로 향상시켜 본래 목적을 달성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는 창조적 활동으로 기존의 디자인 활동보다 더욱 신중히 행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해양안전용품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기능 및 디자인적 요소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해양안전용품의 올바른 개발방안 제시를 위해 진행되었다. 해양안전과 관련 된 용품 중 중요도가 높고 접근성이 높은 구명기구로 범위를 제한하고, 본문 2장에서는 구명기구의 일반적 고찰을 통한 현황, 3장에서는 국제법과 국내법을 비교하여 어떤 점이 다르고 같은지, 어떤 규제가 있는지 연구하여 필요요소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제한 범위 내의 사례를 조사하고 소재·색상·동작 등을 분석하여 필요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3장과 4장의 필요요소를 종합·정리하고 기능 및 디자인요소로 분류하였다. 5장에서는 도출한 기능 및 디자인요소를 구명기구와 상관성에 관한 점수를 매겨 다차원척도법(MDS)으로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기능과 디자인간의 조화가 필요하다는 점, 기능요소와 디자인요소는 상호보완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해양안전에 관련된 디자인은 소비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컨슈머 프로덕트(consumer product)가 아니기에 디자인이 아닌 기능을 우선시해야 한다. 하지만 성능이나 기능은 필수이며 디자인은 사용자를 위해 추가되어야 한다.또한 구명기구의 기능 및 디자인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요소 간 문제해결점을 찾을 수 있었다..
- Author(s)
- 황다솜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해양 안전 구명 상관관계 PFD 디자인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42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0093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Advisor
- 김명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해양안전용품에 관한 이해 5
1. 해양안전용품의 개념과 분류 5
2. 구명기구 선행연구 7
3. 구명기구의 분류와 현황 10
3.1 구명기구의 형태적 분류 10
3.2 PFD의 분류 23
Ⅲ. 규제분석과 필요요소 추출 25
1. 구명기구의 법규와 기준 25
1.1 선박안전법 25
1.2 국제해사기구 (IMO) 25
1.3 국제표준화기구 (ISO) 26
1.4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27
1.5 한국산업표준 (KS) 27
2. 국내법과 국제법의 비교분석 28
3. 문제점 39
3.1 유효기간과 관리 39
3.2 제조기술 40
3.3 소재개발 40
3.4 제도 및 기준 41
4. 규제분석을 통한 필요요소 추출 42
4.1 부력 42
4.2 보온성능 44
4.3 배면복원 46
4.4 가시성과 반사 46
4.5 내화성 48
4.6 크기와 무게 48
4.7 직관적 사용 48
4.8 활동성 48
4.9 안전성 49
4.10 내구성 49
Ⅳ. 사례분석과 필요요소 추출 50
1. 사례와 현황 50
2. 소재 및 색상 분석 59
2.1 원단 소재 59
2.2 부력재 60
2.3 색상 분석 60
3. 동작 분석 61
3.1 구명조끼 61
3.2 방수복 62
3.3 구명부환 63
3.4 레스큐 튜브 63
3.5 구조탄 63
3.6 드로우백 64
3.7 구명줄 발사기 64
4. 사례분석을 통한 필요요소 추출 66
5. 필요요소 종합도출 68
Ⅴ. 기능 및 디자인적 요소 간 상관관계 분석 71
1. 상관관계 분석법 71
1.1 다차원척도법 71
1.2 계층화 의사결정기법 74
1.3 의미 분별 척도법 75
1.4 고장형태 영향분석 76
1.5 평가 매트릭스 77
1.6 요인분석 77
1.7 체크리스트 78
2. 상관관계 분석 78
2.1 구명조끼 78
2.2 방수복 83
2.3 구명부환 및 구조탄 86
2.4 레스큐 튜브 91
2.5 구명줄 발사기 및 드로우 백 95
Ⅵ. 결론 99
1. 요약 및 결론 99
2. 향후 연구과제 101
참고문헌 10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