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and Cross Calibration/Validation KOMPSAT-3
- Abstract
- 다목적실용 위성인 KOrea Multi Purpose SATellite 3 Advanced Earth Imaging Sensor System (KOMPSAT-3 AEISS)는 식생탐지, 지도제작, 환경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구관측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선 위성에 탑재된 센서의 방사학적 보정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사보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KOMPSAT-3 센서의 복사보정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성 평가 및 광학적 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KOMPSAT-3 센서의 계수 산출을 위해 반사도 기반 대리보정 방법을 수행하였으며, field campaign, 복사전달코드(Radiative Transfer Code, RTC)를 통해 복사보정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R2은 모든 band에서 0.99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센서의 방사학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Committee 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CEOS)에서 제공하는 Libya 4 지역을 촬영한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 (OLI)와 동일한 날짜의 영상을 획득하여 교차보정을 수행하였다. 두 위성 간의 교차보정 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NIR band를 제외하고 나머지 band에서 5 %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두 위성 간의 NIR bandwidth가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NIR band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두 위성 간의 서로 다른 bandwidth로 인한 차이는 Spectral Band Adjustment Factor (SBAF)를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감소시켰다. SBAF 계수를 산정하기 위해 초분광 센서를 탑재한 EO-1 Hyperion을 이용하여 가상 영상을 만든 후 반사도 비교를 통해 SBAF 계수를 산정하였다. SBAF 적용 후 Blue, Green, Red band에서 최대 –4.07 % 의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NIR band에서는 SBAF 적용 전 –13.91 % 의 반사도 차이가 SBAF 적용 후 5.11 % 로 더 개선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OMPSAT-3 센서의 절대복사보정 계수 검증을 위해, 서로 다른 2 지역을 선택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Railroad Valley Playa의 KOMPSAT-3와 Landsat-8 영상을 획득하여 절대복사보정 계수에 대한 Top Of Atmosphere (TOA) reflectance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절대복사보정 계수 < 교차보정 계수 < SBAF를 적용한 절대복사보정 계수 순으로 퍼센트 차이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SBAF를 적용하였을 때, 모든 band에서 약 3 % 내의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는 고흥에서 복사보정을 수행하여 산출된 절대복사보정 계수를 몽골 영상에 적용시켜 산출된 TOA radiance와 몽골 지역에서 대리보정을 통해 산출된 TOA radiance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blue band에서 최대 약 3 %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R2은 0.98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가졌다.
본 연구는 KOMPSAT-3 센서의 복사보정을 수행하여 복사보정 계수 및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모든 band에서 3 % 이내의 percent difference를 보였으므로 KOMPSAT-3 센서의 광학적 품질 및 안정성 유지에 적합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신동윤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cross calibration KOMPSAT-3 SBAF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44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338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dvisor
- 최철웅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Sensor overview 5
2.1. KOMPSAT-3 AEISS 5
2.2. Landsat-8 OLI 9
2.3. EO-1 Hyperion 12
3. Method 15
3.1. Study area 15
3.2.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18
3.2.1. Field campaign 22
3.2.2. Atmospheric correction 24
3.2.3. Calibration coefficient 28
3.3 Cross calibration with Landsat-8 29
3.3.1. Cross calibration 29
3.3.2. Geometric correction 33
3.3.3. Conversion to TOA reflectance 34
3.3.4. Band aggregation 36
3.3.5. SBAF 38
4. Result 41
4.1. Result of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coefficient 41
4.2. Result of cross radiometric calibration 45
4.3. Applying for SBAF 48
4.4. Cross validation of TOA reflectance based on Landsat-8 53
4.5. Validation in Mongolia 58
5. Conclusion 65
Reference 6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