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Bacterial Skin Pathogen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Ozonated Antarctic Krill Oil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의 피부 상재 균에 대한 항균 및 항염증 작용
Abstract
본 연구는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을 이용하여 병원성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생제와의 혼합에 따른 그 상승 효과를 비롯하여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해석하였다.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의 항균활성은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균을 이용하여 disc diffusion assay과 MIC test를 통하여 비교 측정하였다.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은 대조구 보다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8 및 96시간 오존 처리한 남극 크릴 오일에서 128-256 μg/mL 범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tetracycline, erythromycin 및 lincomycin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P. acnes , P. aeruginosa, S. aureus 균주를 대상으로 이들 항생제와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균활성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항생제와 혼합 사용되었을 때 더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식세포인 Raw264.7 cell에 대한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 NO assay, Western blot analysis, RT-PCR을 실시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의 농도별 (10, 50, 100 및 200 μg/mL)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100 μg/ mL 까지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assay에서는 144시간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다. Western blot과 RT-PCR을 통해서 염증반응매개 효소인 iNOS, COX-2,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 및 MAPK p-p38에 대한 염증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은 피부 상재 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 활성뿐만 아니라 대식세포인 Raw264.7 cell에 대해서도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존화 남극 크릴 오일은 향후 수산물 유래 여드름 및 항염증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s)
김홍덕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오존화 크릴 오일 피부상재균 항염증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46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385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김선봉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4
1. Materials 4
2. Preparation of ozonated Antarctic krill oil (OAKO) 4
3. Microbial strains and cultures 4
4. Disk diffusion assay 5
5. Measurement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5
6. Synergic effects between OAKO and antibiotics 7
7. Cell culture and viability assay 7
8. NO assay 8
9. Western blot analysis 8
10.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9
11. Statistical analysis 9
Results and Discussion 11
1. Antibacterial skin pathogens activity of OAKO 11
2. Determination of MIC of OAKO 11
3. Antibiotic resistance of bacterial skin pathogens against commercial antibiotics 13
4. Synergy effects between OAKO and antibiotics 15
5. Cytotoxicity OAKO and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20
6. Effects of the OAKO.144 on LPS-induced iNOS and COX-2 protein and mRNA expressions 23
7. Effects of the OAKO.144 on LPS-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23
8. Effect of OAKO.144 on LPS-induced MAPKs activation 26
Conclusions 29
References 3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