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Dependence of upconversion luminescence on sensitizer Yb3+ concentration in NaYF4: Yb3+ / Tm3+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NaYF4: Yb3+/ Tm3+ 결정에서 상방전환 형광의 Yb3+ 농도의존성 연구
Abstract
NaYF4: Yb3+/ Tm3+ 과 다양한 감광제 Yb3+ 을 0 에서 100% 까지 집중시킨 혼합물들을 hydrothermal method로 합성하였다. 구조와 상의 순도는 XRD측정법에 의해 식별된다. SEM 이미지는 Yb3+ 집중도의 증가와 6각 plates의 팽창을 보인다. NaYF4: Yb3+/ Tm3+ 혼합물의 발광속성에 영향을 끼치는 높은 자극과 감강력 집중도의 효과는 spectroscopic measurement과 이론적 분석에 의해 연구되었다. 5, 15, 20, 50% 의 집중도를 가지는 Yb3+과 NaYF4: Yb3+/ Tm3+ 샘플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976mm 자극 하에서 자극 의 밀도는 710 에서 18900 W/cm2 범위에 분포한다. 4700 W/cm2의 자극 밀도는 배출선의 발광정도를 거의 최대까지 증가시킨다. 4700 W/cm2 보다 더 높은 자극밀도에서 Upconversion emission은 감소한다. 주어진 자극 밀도에서 upconversion emission는 Yb3+ ions의 집중도가 혼합물보다 훨씬 높을 때 upconversion emission은 이상반응을 보인다.
Author(s)
Hang Thi Dang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NaYF4: Yb3+/ Tm3+ 형광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4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298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Advisor
서효진
Table Of Contents
Contents
1. Introduction 1
2. Theoretical background 3
2.1 A brief introduction to luminescence 3
2.2 Upconversion process 6
2.3 Theory of anomalous power dependence 10
3. Experiment section 13
3.1 Experimental chemical reagents and synthesis equipment 13
3.2 Sample preparation 14
3.3 Measurement 16
4. Results and discussion 18
4.1 XRD and SEM results 18
4.2 Mechanism of the upconversion luminescence 22
4.3 The influence of Yb3+ concentration on upconversion luminescence 24
5. Conclusion 39
References 40
Acknowledgements 4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