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different levels of dietary fish meal analogue (FMA) and two different natural additives on juvenil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Alternative Title
- 사료 내 어분대체품의 어분대체 수준과 두가지 천연 사료첨가제가 치어기 뱀장어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어분은 양어사료에 있어서 높은 기호성과 단백질 함량, 적절한 아미노산 함량 등의 이유로 인하여 주 단백질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어류 수요량의 증가에 비해,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어분의 생산량이 감소하며, 그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어사료 내 어분을 대체할만한 양질의 단백질원 개발이 필요하다. 어분대체품(FMA)은 축산부산물인 수지박, 가금부산물, 우모분, 혈분과 오징어간분, 참치가공부산물, 라이신, 메치오닌 적정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두 번째 실험으로는 천연 첨가제인 송강스톤, 유카밀을 첨가하여 어분대체품의 어분대체율 증가 효과를 실험하였다.
9개 구간의 뱀장어 사료 실험구를 제작하여 대조구에는 어분 100%, 각 실험구에는 어분대비 FMA10% (FMA10), 20% (FMA20), 30% (FMA30), 40% (FMA40),를 첨가하여 사료를 제작하였고 어분대체 상승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FMA0 + 송강스톤 (FMA0SG), FMA0 + 유카밀 (FMA0YM), FMA20 + 송강스톤 (FMA20SG), FMA20 + 유카밀 (FMA20YM) 실험구를 추가로 제작 하였다. 사육어는 9g±0.2의 뱀장어를 40L수조에 15마리씩 무작위로 3반복 배치하였고, 27℃의 수온을 유지하였다.
8주의 사육실험 후 성장, 전어체,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증체율(WG)과 일간성장률(SGR), 사료효율(FE), 단백질효율(PER)에 있어서 FMA0, FMA10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FMA20, FMA30, FMA40실험구에서는 대조구(FMA0)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FMA0 실험구와 FMA0SG, FMA0YM, FMA20SG, FMA20YM 실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특이적 면역반응 중 Lysozyme 활성 분석 결과 FMA10, FMA20, FMA30, FMA40 구간이 FMA0SG, FMA0YM, FMA20SG, FMA20YM 구간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 Anguillarum을 이용한 공격실험 결과 균 주입 7일 후 생존율에 있어서 FMA20SG, FMA20YM 실험구는 FMA0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OD분석과 전어체, 혈액학적 분석 결과 전 실험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어분대체품(FMA)의 어분대체율은 10%까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송강스톤과 유카밀은 어분대체품의 어분대체율을 10%에서 20%까지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Author(s)
- 배진호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Japanese eel FMA Fish meal analogue Fish meal replacement 뱀장어 어분대체품 어분대체 Anguilla Japonica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1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225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 Advisor
- 배승철
-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5
Experimental design and diets 5
Experimental fish and feeding trial 9
Sample collection and analysis 10
Statistical analysis 13
III. Results 14
IV. Discussion and Conclusion 32
V. Acknowledgment 40
VI. References 42
VII. Appendix (raw data) 5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