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rees on a Wind Comfort at the Pedestrian Height in an Urban Area
- Abstract
- 본 연구는 CFD 모델을 이용하여 수목의 유무에 따른 보행자 높이에서 풍환경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은 부경대학교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1 km로 설정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여 지표경계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현실적인 바람에 대한 유입 경계 조건을 위해 대상 지역에 위치한 AWS 942 지점의 관측 값을 기반으로 수치 도메인 경계에서의 풍속을 추정하였다. 분석 시기는 잎이 존재하는 개엽기(5월)에서 낙엽기(10월)까지와 보행군이 많은 주간(8 ~ 19시)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의 주 풍향은 동풍과 서남서풍이며, 이 두 풍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풍환경 측도는 풍속에 따라 인체가 느끼는 정도를 나타내는 Davenport 풍환경 측도를 이용하였다. 보행자 높이에서 풍환경은 주로 건물 사이와 건물의 모서리, 고층 건물의 풍상측, 그리고 장애물이 없는 나지 등에서 나쁘게 나타났다. 수목을 식재한 후의 풍환경 등급은 수목 항력 효과로 인해 수목이 없는 경우 보다 전체적으로 1단계에서 최대 3단계까지 개선되었다. 특히, 학교 둘레를 따라 식재된 수목이 1차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강한 흐름은 크게 약화시켰고, 학교 내부 곳곳에 식재되어 있는 수목이 흐름을 2차적으로 약화시켰다. 아파트(고층 건물) 단지 사이는 강풍은 상층 흐름의 하강류가 주 원인으로, 건물 측면에 식재된 수목은 아파트 단지 사이의 풍속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Author(s)
- 강건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CFD model wind comfort tree-drag effects building-wind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1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330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dvisor
- 김재진
- Table Of Contents
- Ⅰ.Introduction 1
Ⅱ.Methods 4
2.1.Model description 4
2.2.Target area 5
2.3.Experimental setup 7
Ⅲ.Estimation of inflow wind speed in a CFD model domain 10
Ⅳ.Results and discussion 21
4.1.Wind comfort criteria and Analysis period 21
4.2.Easterly case 23
4.3.West-southwesterly case 29
Ⅴ.Summary and conclusions 38
REFERENCE 4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