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Labeling Algorithm and Quantifier Scope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표찰 알고리즘과 양화사 작용역
Abstract
심층 구조에서 표층구조로 도출되는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틀 내에서 양화사 해석의 중의성을 설명하기 위해 May(1975)는 양화사 인상(Quantifier Raising)이라는 규칙을 제시하며 의미해석 표시에 해당하는 독립 층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Chomsky(1976) 와 Chomsky and Lasnik (1977)은 의미부를 설정하여 통사부에서 의미부로 이어지는 도출과정을 의미형태 (LF)라고 불렀는데. 가장 최근의 최소주의는 이러한 의미형태나 양화사인상이라는 별도의 규칙을 모두 없애고 오직 병합(Merge)을 통한 협의 통사부(Narrow Syntax) 운용만을 허용하고 있다.
병합을 통해 만들어진 통사체들은 의미 해석과 음성/음운 해석을 담당하는 개념-의도 접합부(Conceptional-Intentional,C-I Interface)와 감각 운동 접합부 (Sensory Motor, SM Interface)로 보내져 해당하는 해석이 이루어지는데, Chomsky는 자유로운 병합(Free Merge) 운용을 통해 도출된 통사체가 각 접합부에서 올바르게 해석되기 위해서는 통사체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표찰(label)이 결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바로 본 연구의 초석이 되는 Chomsky(2013, 2014)의 표찰 알고리즘(Labeling Algorithm)이며, 본 논문에서는 양화사의 작용역 중의성을 최소주의 내에서 Chomsky(2014)의 표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명 하고자 한다.
양화사 작용역의 중의성은 지배결속이론(Government and Binding) 시절부터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접근방식을 통해 꾸준히 연구되어 왔지만, 작용역의 중의성을 야기한다고 간주되는 특정 통사적 현상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양화사의 역 의미 작용(inverse scope)을 포함한 의미의 중의성을 인간 언어에서 바라보고 그러한 작용이 어떤 기제를 통해 일어나는 현상인지에 관한 심도 깊은 설명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과거에는 양화사 작용역의 중의성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May(1985)가 양화사인상을 주장하면서 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인 이동(covert movement)이라고 하였고, 이후로는 Aoun and Li(1993)가 작용역이란 양화사 간의 성분통어(C-Command)를 통해 의미적 차이가 생겨나는 것이라 하였으며 ,최소주의 도입 이후 Hornstein(1999,2000)은 격 점검을 위한 논항이동으로, Fox(2000)는 의미 변화가 양화사 이동의 원인이라는 관점의 연구를 제시하며 기존의 통사적 연구에 의미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표찰 알고리즘 내에서 최소 탐색(Minimal Search)으로 두드러진 자질(prominent feature)의 공유(sharing)에 기반한 표찰 결정방법을 토대로 Reinhart(2003) Chomsky(1995, 2000)와 Tang(2001)의 주장을 받아들여 양화사의 역 의미작용을 유발하는 양화자질의 존재를 가정하며 양화사 작용역을 나타내는 통사체의 표찰은 자질공유를 통해 로 결정된다고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양화사의 중의성은 표찰에 의해 그 정보가 개념-의도와 감각 운동 접합부로 전달되는 것을 전제로 표찰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는 의미 해석에, 는 음성/음운 해석에 정보를 전달하여 양화사의 작용역 현상을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하여 설명하려는데 의의가 있다.
Author(s)
전혜원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Labeling Algorithm Quantifier Scope LA Inverse Scope Quantifier Scope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3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323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박순혁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1
1.1 Goals 1
1.2 Objects of Inquiry 2
1.3 Organization 5
Ⅱ. Quantifier Scope and Theories 7
2.1 Introduction 7
2.2 Quantifier Scope 8
2.2.1 Quantifier Raising and Logical Form 8
2.2.2 A-movement for Case checking 12
2.2.3 Scope Economy 18
2.3 Some issues 23
Ⅲ. A Minimalist Approach 32
3.1 Introduction 32
3.2 The Minimalist Program: Architecture 35
3.2.1 Feature Interpretability and Agree 39
3.2.2 Transfer and Spell-Out 42
3.2.3 Phases and Labels 47
3.2.4 Feature Inheritance 53
3.3 Labeling Algorithm 55
3.3.1 How Labeling proceeds 58
3.3.2 Implications for EPP 63
Ⅳ. Labeling Algorithm: Applications for Quantifier Scope 66
4.1 Introduction 66
4.2 Phases and Inherent Features 67
4.3 Labeling Algorithm on Quantifier Scope 72
4.3.1 Doubly Quantified Construction 81
4.3.2 Scoping out of PP 95
4.3.3 Infinitives 104
4.3.4 A Mismatch between PHON and SEM units 111
4.3.5 Summary 117
Ⅴ. Conclusion 119
Bibliography 121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