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Low salinity acclimation in hybrid between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nd giant grouper (E. lanceolatus) and gene encoding prolactin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붉바리(Epinephelus akaara)와 대왕바리(E. lanceolatus) 교잡종의 염분변화 반응 및 Prolactin 유전자 분석
Abstract
염분과 염분의 변화는 어류의 성장, 발달, 생존 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프로락틴(PRL)은 어류에서 삼투압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어류의 삼투압조절의 기작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PRL 유전자 분석 및 저염분 적응시 뇌에서의 PRL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염분별(32, 24, 16, 8 psu) 성장은 두 종 모두 해수인 34psu에서보다 낮은 염분인 16psu 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생존율은 붉바리의 경우 8psu에서 전량 폐사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구에서 모두 생존하여100%였고, 대왕붉바리는 모든 실험구에서 90%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붉바리와 대왕붉바리의 PRL은 21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 signal peptide는 2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mature protein은 18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붉바리와 대왕붉바리의 PRL cDNA유전자의 길이 및 구조는 유사하였으나 intron의 크기는 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국내에서 혼동되고 있는 자바리 및 능성어를 포함한 그루퍼 4종의 종 구분방법을 PRL 유전자의 인트론의 크기차이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붉바리와 대왕붉바리의 저염분 순치 시 PRL의 발현레벨은 순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48시간후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Author(s)
최복기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Osmoregulation Prolactin; Osmoregulation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hybrid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4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406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김종명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5
1.Animals and sampling procedure 5
2.Genomic DNA extraction and cloning 6
2-1. Genomic DNA extraction 6
2-2. PCR Amplification of the partial gene encoding prolactin (PRL) 7
2-3. Preparation of competent cells and transformation of recombinant plasmid into the E. coli 8
2-4.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recombinant plasmid DNA 9
3. Reverse transcription (RT)-PCR analysis 10
3-1. Extraction of total RNA 10
3-2. Synthesis of first strand cDNA 11
4. Sequence analysis 12
Ⅲ. Results and Discussion 14
1.Growth performance and survival rates of red-spotted grouper and hybrid grouper under different salinities 14
2. Gene structure and amino acid sequence of PRL 18
3. Sequence alignment and phylogenetic tree analysis 20
4.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PRL 22
5. Expression of PRL in red-spotted grouper and hybrid grouper upon acclimation to low salinity 23
6.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detection method for groupers based on PRL sequences 25
IV. Abstract (Korean) 41
V. Reference 4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