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Mass culture of a freshwater green alga Chlorella sorokiniana HS1 under mild salinity and induction of neutral lipids, chlorophyll a and b, and total carotenoids by salinity change after enrichment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약한 염도조건에서 담수 녹조류인 C. sorokiniana HS1의 대량배양과 농축
Abstract
염분은 육상식물과 미세조류 담수 종 모두에게 주요한 비생물적 스트레스 원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일부 Dunaliella 종의 경우, 염도 스트레스에 광합성과 카로티노이드 합성이 감소한다. 그러나, 새롭게 알려진 녹조류인 C. sorokiniana HS1은 담수 종임에도 불구하고 해수의 염도에도 적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염도 변화에 따른 C. sorokiniana HS1의 최적의 성장조건을 알아보고 농축 후, 중성지질과 클로로필 그리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으로C. sorokiniana HS1을 담수와 4개의 서로 다른 염도 구간에서 배양 한 후, 성장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C. sorokiniana HS1 은 10 g L-1의 염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했다. 이 후, 막 여과 방식을 이용하여 C. sorokiniana HS1을 농축하였다. 농축 후, 4개의 서로 다른 염도 구간에서 24 ~ 72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그 후, 염도 변화와 시간에 따른 중성지질과 클로로필 - a, b 그리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변화를 Nile red 염색법과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C. sorokiniana HS1은 10 g L-1의 염도 조건에서 중성지질과 클로로필 그리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하 염수 이용한 미세조류의 대량배양을 통한 클로로필의 생산과 지방 추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제안한다.
Author(s)
김근수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C. sorokiniana HS1 녹조류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4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2666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생물학과
Advisor
최태진
Table Of Contents
I. ABSTRACT 1
II. INTRODUCTION 3
III. MATERIALS AND METHODS 7
3.1 CELL STRAIN AND CULTURE CONDITIONS 7
3.2 CULTIVATION OF C. SOROKINIANA HS1 IN DIFFERENT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8
3.3 AFTER THE MASS CULTURE OF C. SOROKINIANA HS1 AND ESTABLISH STORAGE CONDITIONS UNDER SALT STRESS 8
3.4 NILE RED STAINING AND NEUTRAL LIPID DETERMINATION 9
3.5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 AND B AND TOTAL CAROTENOID CONTENTS 11
IV. RESULTS AND DISCUSSION 13
4.1 CULTIVATION OF C. SOROKINIANA HS1 IN VARIOUS NACL CONCENTRATIONS 13
4.2 AFTER THE MASS CULTURE OF C. SOROKINIANA HS1 AND ESTABLISH STORAGE CONDITIONS UNDER SALT STRESS 18
4.3 NEUTRAL LIPID CONTENTS IN RESPONSE TO CHANGES IN SALINITY 21
4.4 CONTENTS OF CHLOROPHYLL A AND B, AND TOTAL CAROTENOIDS IN RESPONSE TO CHANGES IN SALINITY 25
V. CONCLUSION 30
VI. 국문초록 33
VII. REFERENCES 3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미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