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xed Placement Models of Marine Forest Artificial Reefs Considering Efficiency and Unit Propagation Indices of Wake Volumes
- Alternative Title
- 후류체적의 효율지수 및 단위전파지수를 고려한 해중림 어초의 혼합 배치모델
- Abstract
- 연안 해역의 갯녹음 현상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해중림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해중림 어초는 어•패류의 서식장, 산란장, 먹이장 보호를 위해 인위적으로 해조류를 부착, 서식하게 하여 해조류 확산이 가능하게 개발된 어초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평면으로 분산시키거나 한 곳에 집중 산적하여 설치된다. 이 가운데 해중림 어초는 포자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부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평면 분산 배치 모델을 사용한다. 본 연구는 평면 분산 배치된 해중림 어초 집합의 최적의 혼합 배치 모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요소기반 유한체적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고, 후류체적을 산정하여 후류역을 정량화하였다. 그리고 어초집합 모델의 후류역 효율성을 나타내기 위해 효율지수와 단위전파지수를 사용하였다. 대상 어초는 34종 해중림 어초 가운데 2008년부터 2014년까지의 설치량을 기준으로 선정한 일곱 개의 어초(반구형어초, 요철형어초, 육교형어초, 방가로형어초, 신요철형어초, 아치형어초, 테트라형어초)이다. 해석결과로부터 어초의 종류에 따라 증가 폭의 차이는 있지만 혼합 배치 모델로 설치할 때 단일 종류의 배치 모델보다 후류역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단위어초를 단일집합으로 설치하여 후류역의 효율이 낮은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단위어초(반구형어초 등)와 혼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Author(s)
- Somi Jung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ixed Placement Model Marine Forest Artificial Reefs Efficiency index Unit Propagation Index Wake Volume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308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공학과
- Advisor
- 나원배
-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Objective and Scope 6
CHAPTER 2 MATERIALS AND METHODS 9
2.1 Target Artificial Reefs 9
2.2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15
2.2.1 Governing equation and basic hypothesis 15
2.2.2 Mesh conditions 21
2.3 Wake Region 31
2.4 Flatly Distributed Placement Model 34
2.4.1 Line placement model 36
2.4.2 Mixed placement model 39
2.5 Efficiency and Unit Propagation Index 45
2.5.1 Efficiency index 45
2.5.2 Unit propagation index 46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S 48
3.1 Analysis Results of AR Modules and Single Type Placement Models 48
3.2 Analysis Results of Line Placement Models 62
3.3 Analysis Results of 3×3 Mixed Placement Models 66
3.4 Analysis Results of Three Types of 3×3 Mixed Placement Models 78
CHAPTER 4 CONCLUSIONS 85
ACKNOWLEDGEMENT 87
REFERENCES 8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