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of sea raven, Hemitripterus villosus (Hemitripteridae, Pisces) from Korea
- Alternative Title
- 한국산 삼세기(Hemitripterus villosus)의 형태 및 유전변이
- Abstract
- 삼세기(Hemitripterus villos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중부 이북,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지에 분포하는 저서어류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하는 어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삼세기의 개체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6개 지역(인천, 보령, 신안군 흑산도, 부산, 포항,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175개체의 삼세기를 대상으로 형태 및 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삼세기 147개체를 대상으로 6개의 계수형질 및 25개의 계측형질을 이용한 형태분석 결과, 계수형질에서는 척추골 수에서 집단 간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계측형질을 사용한 정준판별분석 결과, 서해·남해[인천, 보령, 흑산도]와 동해[포항, 고성]의 두 지역이 잘 구분되었다.
삼세기 175개체를 대상으로 mt DNA Cytb 영역 801bp에 의한 분자분석 결과 총 20개의 단상형(haplotype)이 확인되었다. 최소근접네트워크(Minimum spanning network)는 별 모양으로, 지역에 따라 나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나타난 Haplotype 1의 빈도가 서해-남해-동해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 집단간 유전적 분화 정도를 나타내는 고정지수 (FST)는 [고성] 지역과 [인천, 보령, 흑산도, 부산] 지역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포항]은 흥미롭게도 [인천] 지역과만 차이를 보였지만 고성과 같은 하플로타입을 공유하는 점에서 서해·남해[인천, 보령, 흑산도, 부산)와 동해 북부[고성) 사이의 전이지역(transitional zone)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인천, 보령, 흑산도, 부산, 포항은 낮은 하플로타입 다양성(0.086-0.303)과 낮은 염기 다양성(0.000358-0.000635) 을 가졌으며 고성은 높은 하플로타입 다양성(0.765)과 낮은 염기 다양성(0.001647)을 가져 서로 다른 진화 역사를 가졌다. Tajima’s D test와 Fu’s Fs test 결과 대부분의 지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에 집단의 급격한 팽창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보여준다.
형태분석과 분자분석 결과, 한국산 삼세기는 서해·남해[인천, 보령, 흑산도, 부산]와 동해[포항, 고성] 간 유전자 흐름이 낮거나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포항과 나머지 지역 간 유전적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최근의 집단 분화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DNA와 같은 마커를 사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 Author(s)
- 장서하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Cytochrome b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genetic variation Hemitripterus villosu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5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388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김진구
-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4
1. Sampling 4
2. Morphological analyses 8
(1) Measurement method 8
(2) Statistical analysis 8
3. Molecular analyses 11
(1) Genomic DNA extraction,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11
(2) Sequence alignment and data analysis 11
III. Results 14
1. Morphological analyses 14
2. Molecular analyses 25
(1) Genetic variation 25
(2) Population structure 28
(3) Demographic history 30
IV. Discussion 38
1. Morphological analyses 38
2. Molecular analyses 41
V. References 4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