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ometric Vicarious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Musltispectral Satellite : Using KOMPSAT Series
- Abstract
- 광학영상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복사 검보정은 위성영상 활용에 앞선 기본데이터로서 영상의 안정된 품질을 유지하고 정량적인 신호특성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관측위성의 절대복사 검보정 및 교차 검보정을 수행하여 위성에서 공급되는 영상 자료들에 대한 품질의 향상과 안정화를 통해 해외 시장 진출 및 광범위한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고, 또한 지표면의 특징을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KOMPSAT 영상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반사도 기반의 대리 검보정, 의사불변 사이트를 이용한 교차 보정, 복사전달 코드를 이용한 불확실성 산정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KOMPSAT-3, 3A 위성은 한반도의 지표면을 정밀 관측할 목적으로 서브미터급 공간해상도 (KOMPSAT-3 : 0.7, KOMPSAT-3A : 0.55)의 전정색 고해상도 카메라와 2m급의 다중분광 카메라를 탑재하였다. 다목적 실용위성 3A호의 절대복사검보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흥과 몽골에서 각각 3회에 걸쳐 총 6회 Field Campaign을 통해 분광자료 및 기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분광자료를 기상자료 및 위성자세정보 등을 인풋 파라미터로 하여 TOA Radiance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TOA Radiance와 영상 DN과의 1차 선형 회귀식을 통해 절대복사보정 계수를 산정하였다. 각 6회의 보정계수를 비교한 결과 표준편차가 3% 내외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적인 Radiometric Calibration의 목표치를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alibration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의 DN, 관측기기의 반사도, 복사보정시 발생 할 수 있는 조건에 따른 불확실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약 4.6%내외의 Uncertainty가 나타났다.
다목적 실용위성 3호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센서 감퇴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반사도가 일정한 의사불변 사이트인 Libya-4 지역에서 Landsat-8위성과의 교차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교차검보정을 위해 2014년부터 2015년 까지 2년동안 수집된 영상을 이용하여 TOA Radiance, TOA Reflectance를 이용한 검보정을 수행한 결과 Blue, Green ,Red 밴드에서는 약 3% 내외의 반사도 차이가 나타냈으며, NIR 밴드는 15% 차이가 났다. 이는 위성밴드대역폭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위성의 밴드대역폭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밴드조정 계수인 Spectral Band Adjustment Factor 산정을 위해 초분광 위성인 EO-1 Hyperion 영상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SBAF 적용 전/후 NIR 밴드에서 TOA Reflectance 차이가 4% 내외로 감소하였다.
Cross Calibration의 불확실성을 산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범용적 대기보정알고리즘 중 하나인 6S를 KOMPSAT-3의 RSR 및 Geometry를 적용할 수 있도록 Customizing 하였다. Libya Site의 대기조건 및 위성촬영시간에 따른 BRDF를 고려한 toa radiance 변화를 산정하기 위해 MODIS 위성 및 OMI 위성과 2년간의 촬영 당시 KOMPSAT-3위성의 태양각 및 위성각을 이용하여 대기 및 BRDF에 대한 Uncertainty를 산정한 결과 약 5%내외의 toa radiance에서 uncertainty가 발생하였다.
- Author(s)
- 안호용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대리검보정 교차검보정 다목적실용위성 복사전달코드 분광밴드조정계수 불확실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7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416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dvisor
- 최철웅
-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Objective 5
1.3. Trend of Study 8
Chapter 2. Data and Method 8
1. KOMPSAT-3, 3A Overview 8
2. Theoretical Background 10
2.1. Radiometric Calibration 10
2.2. Vicarious Calibration 12
2.3. Cross Calibration 17
3. Method Overview 21
Chapter 3. Absolute Calibration Of KOMPSAT-3A 24
1. Overview 24
2. Methods 27
2.1. Study area and image selection 27
2.2. Field campaign for radiometric calibration 29
2.3. Converting surface reflectance to TOA radiance 32
2.4. Cross-validation 35
3. Results & Discussion 38
3.1. Radiometric characterization 38
3.2. Radiometric calibration 40
3.3. Calibration coefficient assessment 45
3.4. Radiometric cross-validation using Libya-4 PICS 47
4. Uncertainty analysis 48
4.1. Tarp reflectance measurement 49
4.2. Satellite DN 51
4.3. Atmospheric conditions 52
4.4. BRDF 55
4.5. Total uncertainty 57
5. Summary 60
Chapter 4. Cross Calibration of KOMPSAT-3 62
1. Overview 62
2. Study Area and Data Used 64
2.1. Sensor Overview 64
2.2. Relative spectral response at the K3, L8, EO-1 66
2.3. Image Selection 68
3. Method Overview 71
3.1. Conversion TOA radiance and reflectance 72
3.2. Cross Calibration 75
3.3. Spectral Band Adjustment Factor (SBAF) 76
3.4. TOA Radiance Simulation 79
4. Results and Discussion 85
4.1. Cross Calibration Without SBAF 85
4.2. SBAF Results Based on Image Pairs 87
4.3. Combining the comparison results each satellite image 90
4.4. Sensor Degradiation 97
5. Summary 99
Chapter 5. Uncertainty Analysis for Cross Calibration 100
1. Overview 100
2. Theological Background 102
2.2. 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102
2.3. Correction of Atmospheric Effects 104
3. Method 106
3.1. 6S RTM Model 106
3.2. Simulation of 6S for Cross Calibration 109
4. Result 111
4.1. Validation Of Vicarious Calibration 111
4.2. Uncertanity anaysis of Cross Calibration 114
5. Summary 120
Chapter 6. Conclusion 121
1. Result Summary 121
2. Implications 123
3. Limitations and Future Challenges 124
References 125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