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parameters of the December 22, 2015 Iksan earthquake
- Alternative Title
- 2015년 12월 22일 익산지진의 지진원 요소
- Abstract
- 2015년 12월 22일 전북 익산지역(36.02°N, 126.95°E)에서 지역규모(𝑀𝐿) 3.9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발생 이후 연쇄적인 지진이(𝑀𝐿<2.0) 3회 발생했다. 지진분석을 위해 Kim, S. 1차원 층상 지각속도구조 모델(Kim et al., 2011)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여 위치, 깊이, 단층면해, 규모 등을 결정했다. 위치변화는 거의 없었다. 한반도 지진의 진원 깊이가 10km 내외(Kim et al., 2011)인데 위치재결정 결과 분석지진 대부분이 9-13km에 분포했다. hypoDD분석 결과 지표단층과의 연계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익산지진의 지진원에서 단층 운동을 유발하는 주 압축응력의 우세한 방향은 북동-남서방향으로 남한 내 주요 지진에 대하여 알려진 주 응력장과 유사하다(Cho et al., 2006). 본진의 변위 진폭 스펙트럼 분석결과 3.9±0.1로 파형 역산을 통해 계산한 결과 4.0과 매우 유사했다.
- Author(s)
- 김령이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지진 익산지진 지진원요소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58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284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dvisor
- 강태섭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Ⅱ Theory and Method 4
1. Hypocenter Relocation 4
2. Focal mechanism Analysis 7
3. Spectrum Analysis 11
Ⅲ Results 24
1. Hypocenter Relocation 24
2. Focal mechanism determination 24
3. Spectrum Analysis 28
Ⅳ Conclusions and Discussion 46
References 49
요약 5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