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산화물을 이용한 양자점 발광다오이드에 대한 연구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금속 산화물인 WO3와 MoO3을 나노분쇄, Sol-gel법을 이용해 CdSe/CdS/ZnS 양자점 발광재료(Quantum Dot)로 QD-LEDs (Quantum-dot light-emitting diodes) 소자를 제작 하였다. 소자의 구조는 ITO (Indium-tin-oxide) / WO3 (Tungsten oxide), MoO3 (Molybdenum oxide) / PVK (Poly-9(vinlycarbazole)) / Quantum Dot (QD) / ZnO (Zinc Oxide) / Al (Aluminum)으로 양극 (Anode), 정공 주입층 (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 (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 (Light emission layer, EML), 전자 주입층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그리고 음극 (Cathode)순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양극과 음극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은 용액 공정으로 형성 하였다. 나노분쇄법과 Sol-gel 법으로 제작한 WO3 와 MoO3 로 구성된 소자들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비교 해 보았는데, 적색 계열의 약 620 nm의 주 파장 스펙트럼, 반치폭은 약 30 nm 인 것을 확인 하였고. 전류(J)-전압(V)-휘도(L) 그래프를 통해 WO3 나노분쇄법과 Sol-gel법으로 제작된 소자의 특성은 350, 400 cd/m2 휘도와 0.4 ,0.4 cd/A 효율 특성을 보이며 외부양자효율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약 0.15, 0.3 %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MoO3 나노분쇄법과 Sol-gel법은 160, 210 cd/m2 휘도와 0.5, 0.05 cd/A 효율 특성을 보이며 외부양자효율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약 0.03 ,0.4 %로 나오는 것을 확인 하였다.
- Author(s)
- 김대한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발광 다오이드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64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2030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 Advisor
- 김종수
- Table Of Contents
- 제 Ⅰ장 서 론 1
제 Ⅱ장 이 론 5
제 1절 양자점 5
1.1 양자점의 정의와 구조적 특징 5
1.2 양자구속효과 (Quantum Confinement Effect) 9
제 2절 Metal Oxide 15
제 3절 RF Magnetron Sputter 17
제 4절 전계발광소자 19
4.1 전계발광소자의 구조와 동작 원리 19
4.2 전계발광소자의 효율 22
제 Ⅲ장 실 험 25
제 1절 QD-LEDs 소자 제작 25
1.1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ITO 증착 27
1.2 ITO 기판 세정 및 UV 오존 처리 공정 29
1.3 Spin-Coating 30
1.4 정공 주입층 박막 공정 – WO3 나노분쇄법 31
1.5 정공 주입층 박막 공정 – WO3 Sol-gel법 32
1.6 정공 주입층 박막 공정 – MoO3 나노분쇄법 33
1.7 정공 주입층 박막 공정 – MoO3 Sol-gel법 34
1.8 정공 수송층 박막 공정 – PVK 35
1.9 발광층 박막 공정 – Quantum Dot 36
1.10 전자 주입층 박막 공정 – ZnO 36
1.11 진공 열 증착 공정을 통한 Al 형성 37
제 2절 QD-LEDs 소자의 특성 평가 39
제 Ⅳ장 결과 및 고찰 40
제 1절 Quantum Dot의 광학적 특성 40
제 2절 PL과 EL 파장의 Shift 41
제 3절 WO3를 이용한 QD-LEDs 소자의 특성 44
3.1 QD-LEDs 소자의 외형 이미지 44
3.2 QD-LEDs 소자의 AFM 특성 45
3.3 QD-LEDs 소자의 FE-SEM 특성 46
3.4 QD-LEDs 소자의 전기적 특성 47
제 4절 MoO3를 이용한 QD-LEDs 소자의 특성 50
4.1 QD-LEDs 소자의 외형 이미지 50
4.2 QD-LEDs 소자의 AFM 특성 51
4.3 QD-LEDs 소자의 FE-SEM 특성 52
4.4 QD-LEDs 소자의 전기적 특성 53
제 5절 QD-LEDs 소자의 수명 평가 56
제 Ⅴ 장 결 론 58
제 Ⅵ 장 참고 문헌 5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