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논어고금주』를 통해 본 茶山의 朱子批判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다산의 『논어고금주』와 주자의 『논어집주』를 學而’ㆍ‘爲政’ 편을 중심으로 비교하면서 다산의 주자 비판을 축자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다산은 고주와 금주에 모두 비판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었고, 그 장단점을 취하면서 새롭고 종합적인 논어 주석의 차원을 열었다. 漢儒는 한 대의 훈고학자들을 뜻하는데 明辨이 부족하다고 하였고, 後儒는 당송대의 성리학자들을 뜻하는데 考據가 부족하다고 하였다. 다산이 경전의 주석이라는 방법을 선택하면서 세운 원칙은 考據와 明辨이다. 「오학론」에서도 자세히 언급되고 있듯이, 훈고학과 성리학을 동시에 극복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다산의 經學을 ‘明辨考據의 學’이라고 정의해 보았다.
또한 다산이 『논어고금주』에서 주자를 비판한 방식을 ① 經證經, ② 論據批判, ③ 重言, ④ (주자의) 內在矛盾 指摘, ⑤ 語源確認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Author(s)
정해선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논어고금주 논어 정약용 주자 위정 다산
Publisher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65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283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Department
국제대학원 한국문화학과
Advisor
이근우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Ⅱ. 學 而
1. 有子章
2. 巧言章
3. 曾子章
4. 道千乘章
5. 弟子章
6. 子貢章
7. 君子章
8. 曾子章
9. 子禽章
1). 子禽
2). 讓
10. 父在章
11. 禮之章
12. 信近章
13. 子貢章
Ⅲ. 爲政 上
1. 爲政章
1). 政
2). 德
3). 北辰
4). 共
5). 無爲
2. 詩三章
1). 蔽
2). 效用
3. 道之章
1). 德
2). 格
4. 吾十章
1). 知天命
2). 矩
3). 耳順
5. 孟武章
6. 子游章
1). 養
2). 犬馬
7. 色難章
1). 先生
2). 饌
8. 如愚章
1). 不愚
2). 私
3). 發
9. 視其章
1). 視
2.) 觀
3). 以
4). 由
5). 安
10. 溫故章
11. 周比章
1). 周
2). 比
12. 不思章
Ⅳ. 위정 하
1. 異端章
2. 民服章
1). 錯
2). 諸
3. 子奚章
1). 爲政
2). 有政
3). 孝乎惟孝
4. 十世章
1). 三綱五常
2). 文.質
3). 禮의 損益
Ⅴ. 맺음말
『논어고금주』의 주자 비판
참고문헌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정책대학원 > 문화학부-한국문화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