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지역 기업성과 분석을 통한 지역 정책의 유효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부산지역 내 제조업은 자동차, 조선과 관련된 기계분야 산업을 중심으로 영상․IT, 해양바이오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주공간지원에서부터 마케팅, 애로기술지원 및 기술사업화까지 다양한 공공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
부산테크노파크를 비롯하여 전국 18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테크노파크는 기업의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내용을 전국 테크노파크의 성과와 함께 비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기업지원에 대한 중앙정부차원의 산업발전에 대한 방향성을 유지하며, 부산시 전략산업의 구성을 조정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지역 기업 성과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분산 분석을 수행하여 정부지원사업 수혜기업 및 미지원기업(비교군)을 대상으로 지역 정책의 유효성 연구를 다양한 조건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유효성 연구를 위하여 부산지역 기업을 산업군별, 기업유형별(영세기업, 소기업, 중기업, 중견기업) 등으로 분류한 후 기업 일반현황 및 경영 관련 현황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한다.

조사 항목에 대한 성과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매출액 또는 외형적 규모 증가 등에 영향을 미치는 지원 프로그램을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지원 정책에 대한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Author(s)
조종래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기업지원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69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116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Advisor
옥영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Ⅱ. 본론 5
제1절 중소기업 지원에 관한 선행연구 5
가. 선행연구 5
제2절 기업 지원 사업 현황 8
가.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사업 현황 8
나. 테크노파크 지원 사업 현황 13
다. 타 지원기관 현황 15
제3절 연구설계 22
가. 가설설정 22
나. 표본의 선정 24
제4절 실증분석 28
가. 가설의 검증 28
나. 가설의 검증결과 33
Ⅲ. 연구결론 37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37
가. 연구 결과 요약 33
나. 연구의 시사점 38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안 39
참고문헌 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술경영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