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 스트레스가 해외주재원의 문화적응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role stress on expatriates' cultural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The case of Japanese expatriates in Korea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role stress on expatriates' cultural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I als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factors (i.e., family status, prior willingness to work in Korea, job position, language fluency, length of service in Korea, previous oversea experience) on expatriates' cultural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Surveys were completed by 105 Japanese expatriates in Korea.
Role ambiguity was found to influence work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while role conflict was found not to influence them. Work adjustment was a mediator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performance. The longer the length of service in Korea, the greater work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but family status, prior willingness to work in Korea, job position, language fluency, previous oversea experience did not influence work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 Author(s)
- 이치카와 에미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역할 스트레스 해외주재원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73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1904
- Alternative Author(s)
- Ichikawa Em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경영학과
- Advisor
- 김영조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4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논문의 구성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제 1 절 해외주재원 7
1. 해외주재원의 정의 7
2. 해외주재원의 역할 8
제 2 절 역할 스트레스 9
1. 역할 스트레스의 개념 9
2. 역할 스트레스의 구성요소 10
3. 역할 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14
제 3 절 해외주재원의 문화적응 15
1. 해외주재원의 문화적응의 개념 15
2. 해외주재원의 문화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17
제 4 절 해외주재원 성과 18
1. 해외주재원 성과의 개념 18
2. 해외주재원 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19
제 5 절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20
1. 연구 모형 20
2. 가설의 설정 21
제 3 장 연구 방법 27
제 1 절 조사 방법 27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9
제 3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1
제 4 절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35
제 4 장 연구결과 분석 및 가설의 검증 38
제 1 절 상관관계 및 집단 간 차이 분석 38
제 2 절 가설의 검정 43
제 5 장 결 론 51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토론 51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55
참고 문헌 57
부록 6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