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정보화시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어 생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Formation of Neologism in Korean and Chinese in IT Era
Abstract
언어는 인류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교제 수단이며, 사람들의 의사소통에 주요한 표현 방법이다. 또한 사회 발전에 따라서 인류의 언어문화도 많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문법, 어휘 그리고 음운은 변화하는 언어이며, 특히 어휘는 사회 발전 수준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언어 또한 복잡하고 다양해졌으며, 우리가 표현하는 언어도 풍부하게 변하고 있다. 이렇듯 사람들은 새로운 사회에 따라 새로운 개념, 새로운 사상, 새로운 사물이나 경험을 잘 전달하기 위해 언어의 요소를 잘 운용하고 새로운 단어를 창조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중양국이 정보화와 관련된 신어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분석 기준으로 연구한다. 따라서 중국어 사전과 한국어 사전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어, 외래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생성방식을 통해서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가 가지고 있는 특징 및 두 언어의 차이점을 밝힌다.
Author(s)
LIU TAO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78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208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김영환
Table Of Contents
1.서론 1
1.1 연구범위 와 연구방법 1
1.2 신어 2
1.3 신조어의 문제점 6
1.4 신어와 전문어 및 유행어의 구별. 9
1.4.1신어와 전문어의 구별 9
1.4.2신어와 유행어의 구별 10
2. 한국 신어의 연구. 12
2.1 한국 신어의 생성방식 과 특징 12
2.1.2 의미의부가 12
2.1.3새로운결합 14
2.2합성법 14
2.2.1통사적인 합성법 14
2.2.2비 통사적인 합성법 16
2.3파생법 18
2.3.1접두사의 활용 19
2.3.2접미사의 활용 22
2.3.3한국어 외래어 접두 파생어 30
2.3.4한국어 외래어 접미 파생어 32
2.4 압축법 35
3.중국신어의 연구 46
3.1.중국신어의 생성방식 47
3.1.1의미의 부가 48
3.1.2의미의 축소 49
3.1.3의미의 전환 49
3.2새로운 결합 50
3.2.1결합법 50
3.2.2파생법 51
3.2.3유추법 62
3.2.3.1구조적 유추법 63
3.2.3.2의미적 유추 67
3.2.3.3유사적 유추 68
3.3 외래어의 종류 70
3.3.1의역어 71
3.3.2반의반음역어 72
3.3.3자모어 73
4.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역사 75
5.한국어와 중국어 음역방법 76
5.1중국어중에서 음역방법의 운용 76
5.2 한국어중에서 음역방법의 운용 81
6.한중 신어의 공통점과차이점. 98
결론 101
참고문헌 10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