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수학교과서 분석을 통한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rough Analysi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Abstract
- In the thesis, we researched and developed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science and soc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researche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5 volumes, Science textbooks 3 volumes and social textbooks 2 volumes. As a result, it was investigeted five integrated contents between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planetary cycles of the solar system, change in temperature by height, spring and elasticity, little power and lever, earth's atmosphere and trigonometric ratio). Also it was investigeted four integrated contents between mathematics and social subjects(position of a point, reducing food waste, the speed of the tsunami, exploring Dokdo). But these contents were mainly composed of simple sentence problems. To complement this, we developed thre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typhoons and local damage, building and its height, occurrence and prediction of earthquakes). These materials respectively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which are class basics, instructional procedures, learning plan, map contents, learning effect. Through thes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learners will be expect to improve their ability to reason,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 Author(s)
- 최재승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수학교육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79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113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 Advisor
- 서종진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내용 2
3. 연구의 제한점 2
Ⅱ. 이론적 배경 3
1.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사 3
2. 통합 교육의 필요성 6
3. 선행연구 7
Ⅲ. 연구 방법 10
1. 연구 진행 10
2. 연구 대상 10
3.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11
가. 수학 교과서 연구 방법 11
나. 교과 간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방법 11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12
1. 교육과정 조사 12
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2
(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12
(2)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내용의 변화 13
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4
(1)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14
(2)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내용의 변화 15
2.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16
가. 수학과 과학 교과 간의 통합 교수·학습 자료 내용 분석 16
(1) 태양계의 행성들의 공전 주기 16
(2) 높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 19
(3) 용수철과 탄성력 22
(4) 적은 힘으로도 번쩍 24
(5) 지구의 대기권과 삼각비 26
나. 수학과 사회 교과 간의 통합 교수·학습 자료 내용 분석 29
(1) 경위도와 점의 위치 29
(2)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31
(3) 지진 해일의 속력 35
(4) 우리 땅, 독도 37
3.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예시 40
가. 태풍과 지역의 피해와 관련된 통합 교수·학습 자료 41
(1) 교수학습방법 41
(2) 수업의 절차 41
(3) 수업지도안 43
(4) 지도 내용 구성 46
(5) 학습효과 51
나. 건축물의 높이와 관련된 통합 교수·학습 자료 53
(1) 교수학습방법 53
(2) 수업의 절차 53
(3) 수업지도안 56
(4) 지도 내용 구성 57
(5) 학습효과 59
다. 지진의 발생과 예측과 관련된 통합 교수·학습 자료 60
(1) 교수학습방법 60
(2) 수업의 절차 60
(3) 수업지도안 62
(4) 지도 내용 구성 63
(5) 학습효과 68
Ⅴ. 결론 및 제언 70
1. 결론 70
2. 제언 72
참고문헌 7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