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韩·中) 기초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ainer Design of Basic Cosmetic Container in Korea and China : led by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to 30s.
- Abstract
- 현대사회는 경제성장으로 인한 물질적 풍요와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미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대인들은 먹고사는 문제 뿐 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데 많은 현대 여성들은 동안열풍에 힘입어 피부 관리에 열을 올리고 있다. 노화를 방지하고 아름다움을 가꾸고 유지하기 위해 여성들은 많은 화장품을 사용한다.
과거의 소비자들은 비용과 브랜드를 따졌다면, 현대의 소비자들은 제품 선택에 있어 제품의 기능을 넘어 디자인까지 중요히 생각한다.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화장품의 구매형태나 상품 선택에 대한 태도나 방향이 달라지고 있다.
현대의 여성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성능과 기능, 디자인 및 패키지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구매한다. 그리하여 앞으로의 화장품 시장은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대한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화장품은 아름다움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품으로써 화장품의 재료 및 기능뿐만 아니라 용기 디자인까지도 중요시 되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다양화, 차별화, 개성화되고 있는 화장품 산업 분야의 흐름을 낱낱이 파악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변해가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화장품 용기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실질적인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끝으로 본 한·중 (韩·中) 기초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통해 오늘날의 치열한 화장품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용기 디자인 개선 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될 거라 기대한다.
- Author(s)
- 공자곤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화장품디자인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83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330946
- Alternative Author(s)
- KONG ZIK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Advisor
- 김철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고찰 3
2-1. 화장품의 정의와 분류 3
2-2. 기초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개요 5
Ⅲ.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분류 및 연구 7
3-1. 한·중 문화 비교 및 소비자 특성 7
가. 한국 소비문화의 성향 7
나. 중국 소비문화의 성향 8
3-2.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시대별 특징 9
가. 한국 화장품의 역사와 유래 및 시대별 화장품 용기 변화 9
나. 중국 화장품의 역사와 유래 및 시대별 화장품 용기 변화 10
3-3.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과 여성 소비자 11
가.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입체적인 요소와 여성 소비자 12
(1) 용기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14
(2) 용기 이미지 형식미의 표현 15
나.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그래픽 요소와 여성 소비자 18
(1) 텍스트 디자인 18
(2) 그래픽 디자인 21
(3) 색채 디자인 25
3-4.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 현황 비교 분석 30
가. 한국의 용기디자인 현황 30
(1) 용기를 강조한 맞춤형 디자인 계열화 30
(2) 용기 디자인의 개성화 32
나. 중국의 용기 디자인 현황 33
(1) 화장품 용기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33
(2) 해외 브랜드를 모방한 용기 디자인 34
(3) 용기 디자인 계열화에 대한 모색 35
Ⅳ.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특징 및 설문조사 비교 분석과 결과 39
4-1.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특징 비교 분석 39
4-2. 연구 조사 설계 41
가. 연구 대상 및 목적 41
나. 조사기간 및 분석 방법 42
다. 설문의 구성 43
4-3. 설문내용 및 조사 결과 비교 분석 44
가. 인적 사항 44
나. 화장품 용기 디자인 설문조사 47
다. 화장품 용기 색상 설문조사 51
4-4. 설문조사의 한·중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55
Ⅴ.결론 58
Abstract 60
참고문헌 6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