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강연스피치의 설득 메커니즘 분석;스피치구조와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 Analysis of a persuasiveness of a public speech: Focusing on the Speech Structure and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Fectors
- Abstract
- 급격한 인터넷 보급과 모바일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2000년대부터 1인 미디어나 TED와 같은 강연 콘텐츠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텔레비전이 아닌 모바일 기기를 통한 콘텐츠 소비가 늘어나면서 즉각적인 스피치 피드백과 빠른 확산 그리고 반복적 재생이 가능해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경험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 자신 만의 고유한 콘텐츠로 온·오프라인 강연을 통해 자신이나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거나 강사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이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실제 각종 스피치 아카데미에서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해 많은 이들이 비용과 시간을 쏟고 있으며, 스피치 관련 실용서 출간도 덩달아 늘고 있다.
강연에서 설득적 메시지 전달을 위한 이론과 전략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부터 시작되어 오랜 시간 수많은 선행연구로 검증되어 왔지만, 국내 강사들이 강연 현장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스피치를 구성하고 전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방송 최초로 TED형 강연 프로그램 형식을 시도한 CBS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의 유튜브 동영상 강연 내용분석을 통해 네티즌의 높은 호응을 얻은 스피치둘의 설득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설득력이 높은 강연 스피치는 먼저 스피치 내용이 OPSSC 스피치 구조에 맞춰 체계적으로 구성되었고, 전달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의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를 스피치 내용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인터넷 비디오 스트리밍용으로 편집된 강연스피치를 분석한 관계로 강연 현장과 편집된 동영상의 전달력 차이, 그리고 청중 반응 샷이 네티즌의 공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듯 하다.
강연을 통해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세상과 더 많은 소통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본 연구가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As the Internet connection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1990s, personal media environment and public speech contents such as TED has moved forwar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Active consumption of contents delivered through mobile devices enabled users to instantly provide speech feedback, to rapidly disseminate the contents, and to repeat playback of the contents, which, in turn, made user experience more prominent in the two-way communication environment. This current trend has met the needs of customers who want to promote themselves or companies through various and unique on-and-off speech contents. Individuals have spent their time and money to improve speech ability at a private institution and related books are greatly published. The winning strategy to successfully deliver a persuasive message goes back to Aristole’s rhetoric which has been argued or proven by a body of literature and theories over the year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literature to examine how speakers at a public speech organize their speech in a strategic way and deliver it under the real speech context in Korea. Henceforth, the study aims to explore how famous speakers construct and deliver the speech by analyzing their speech patterns and contents in the TV program, titled “15 minutes to change the world (called ’SEBASI’).” The speech program borrowed TEDtalk format and was first broadcast by CBS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in Korea from 2011.
- Author(s)
- 김도희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15분 강연스피치 스피치구조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설득 매커니즘 TED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85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1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김정규
- Table Of Contents
- 목차 ⅰ
초록 ⅺⅴ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인터넷을 통해 소비되는 강연스피치의 등장 및 성장 3
가. 인터넷 비디오 스트리밍용 15분 강연의 등장: TED 4
나. 국내 강연 방송 프로그램의 변화와 SNS의 활용 11
다. 인터넷 비디오 스트리밍용 15분 강연의 새로운 동향;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16
2. 설득 스피치의 성공전략 18
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적 메시지를 위한 3가지 요소 19
나. 설득 메시지 구성을 위한 5단계 준비 전략 22
3. 스피치 조직과 구조 23
가. 스피치 조직(배열)의 중요성 23
나. 스피치 조직(배열)의 단계 24
(1) 본론 25
(가) 주요 아이디어 조직 25
(나) 세부 아이디어 조직 26
(다) 스피치 주요부의 조직 26
(2) 서론 27
(3) 결론 27
다. 스피치 구조의 종류 28
라. 스피치 구조 분석; OPSSC 33
(1) O: Opening 33
(2) P: Preview 33
(3) S: StoryTelling 34
(4) S: Summary 35
(5) C: Closing 36
4.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37
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38
(1) 음성언어 38
(2) 내용구성 39
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39
(1) 유사언어 40
(가) 속도(빠르기) 41
(나) 강약 42
(다) 퍼즈 42
(라) 억양(고저) 43
(마) 장단 44
(2)신체언어 44
(가) 시선 45
(나) 표정 45
(다) 몸짓(제스처) 46
(라) 태도(자세) 46
(3)신체외양 47
(4)공간언어 47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8
1. 연구 문제 48
2. 연구 대상 선정 49
3. 연구 분석 방법 51
가. 내용 분석 51
나. 분석 유목 52
(1) 스피치 구조 내용 분석 52
(2)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분석 요목 53
(3)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분석 요목 55
Ⅳ. 연구 결과 57
1. OPSSC 스피치 구조 분석 57
가. 분석대상별 스피치 구조 분석 57
(1) CASE 1. 「나는 당신을 봅니다」 김창옥 57
(2) CASE 2. 「꿈길에서 절대 빠지면 안 되는 세 가지 샛길」 김미경 59
(3) CASE 3. 「불행에 맞서는 가장 멋진 방법」 김제동 61
(4) CASE 4.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겠습니다」 김세진 64
(5) CASE 5. 「세상은 만만하지 않습니다」 이국종 66
(6) CASE 6. 「당신의 혈관이 깨끗해야 하는 이유」 홍혜걸 69
(7) CASE 7. 「나는 나쁜 엄마입니다」 양정숙 71
나. 연구문제 1의 분석 결과 73
2. .커뮤니케이션의 언어적 요소 분석 77
가. 분석대상별 언어적 요소 분석 77
(1) CASE 1. 「나는 당신을 봅니다」김창옥 77
(2) CASE 2. 「꿈길에서 절대 빠지면 안 되는 세 가지 샛길」 김미경 77
(3) CASE 3. 「불행에 맞서는 가장 멋진 방법」 김제동 78
(4) CASE 4.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겠습니다」 김세진 78
(5) CASE 5. 「세상은 만만하지 않습니다」 78
(6) CASE 6. 「당신의 혈관이 깨끗해야 하는 이유」 홍혜걸 80
(7) CASE 7. 「나는 나쁜 엄마입니다」 양정숙 80
나. 연구문제 2의 분석 결과 81
3. 커뮤니케이션의 비언어적 요소 분석결과 83
가. 분석대상별 비언어적 요소 분석결과 83
(1) CASE 1. 「나는 당신을 봅니다」김창옥 83
(가) 신체외양 84
(나) 유사언어 84
(다) 신체언어 86
(2) CASE 2. 「꿈길에서 절대 빠지면 안 되는 세 가지 샛길」 김미경 89
(가) 신체외양 89
(나) 유사언어 90
(다) 신체언어 92
(3) CASE 3. 「불행에 맞서는 가장 멋진 방법」 김제동 99
(가) 신체외양 99
(나) 유사언어 99
(다) 신체언어 101
(4) CASE 4.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겠습니다」 김세진 106
(가) 신체외양 106
(나) 유사언어 107
(다) 신체언어 109
(5) CASE 5. 「세상은 만만하지 않습니다」 이국종 115
(가) 신체외양 115
(나) 유사언어 116
(다) 신체언어 118
(6) CASE 6. 「당신의 혈관이 깨끗해야 하는 이유」 홍혜걸 127
(가) 신체외양 127
(나) 유사언어 127
(다) 신체언어 129
(7) CASE 7. 「나는 나쁜 엄마입니다」 양정숙 135
(가) 신체외양 135
(나) 유사언어 135
(다) 신체언어 138
나. 연구문제 3의 분석 결과 145
(1) 전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소 신체외양 분석결과 146
(2) 전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소 유사언어와 신체언어 분석결과 159
Ⅴ. 결론 및 제한점 151
참고문헌 15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