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nalysis of future hourly rainfall data production and statistical characterization for future stormwater management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미래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미래 시간강우자료 생산 및 통계적 특성 분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점강우모델을 이용하여 기후모델에서 생산된 부산과 서울지역의 미래 일 강우자료로부터 시간강우자료를 생성하였다. 또한 부산 녹산공단 지역을 대상으로 EPA-SWMM 모형을 구축한 후, 생산된 미래 시간강우자료를 입력강우자료로 이용하여 미래 강우유출수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점강우모델의 검증을 위해 관측지역의 일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시간강우자료를 생성, 관측된 시간강우자료와의 통계적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미래 기후자료의 편이보정을 실시한 후, 미래 일강우자료를 시간강우자료로 다운스케일을 진행하였다. 미래자료의 편이보정 결과 및 사용여부는 현재기간모의자료(Present)와 관측자료의 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RCP 8.5 시나리오를 미래기간 1, 2로 나누어 현재대비 미래 강수량의 변화양상을 확인 하였다. 연구결과, 강우의 계급구간으로 보았을 때, 극한 사상의 경우 부산의 미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나 서울지역은 미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다. 부산지역의 미래 강우유출수를 전망해본 결과, 미래로 갈수록 강우유출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홍수위험도 및 비점오염부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부산의 미래 도시하천의 경우 현재보다 강우유출수가 발생되는 기간이 증가하여 건천이 될 확률은 다소 감소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uthor(s)
차우영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86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49
Alternative Author(s)
Chawooyo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Advisor
김상단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
1. Background and purpose 1
2. Contents of research 3
3. Lectures review 4
Chapter 2. Methods 6
1. Future weather information 6
2. Bias-correction method 8
3. Point rainfall model generation process 10
1. NSRPM3 10
2. Parameter estimation 14
4. Construct EPA-SWMM in Busan Noksan Industrial Complex 16
Chapter 3. Results 17
1. Results of bias-correction 17
2. Verification of NSRPM3 20
3. Analysis future rainfall compared with present 42
4. Future stormwater analysis 66
Chapter 4. Conclusion 7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