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 Study on Error Patterns in Acquiring English Fricative Sounds by Upper Grades of Elementary Student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초등학생 고학년의 영어 마찰음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Abstract
국제화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교육과정에서 영어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1997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치게 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2008)에 의하면 초등학교 영어교과는 간단하고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이며 음성 언어 교육이 주가 되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Flege(1987)에 따르면 언어를 배울 때 학생들이 잘못된 음성 조직 체계를 형성하거나 아직 분리된 음성 조직 체계가 형성 되어 있지 않으면 목표언어를 발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가 외국어를 배울 때 목표어의 정확한 음운 체계의 지식이 습득 되는 것을 매우 중요하다. 또한 Flege는 언어습득에 있어 나이가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더욱이 Lenneberg(1967)의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에 따르면 언어습득은 생물학적으로 규정된 특정한 시기에서 일어나며 이를 사춘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사춘기 이전의 시기에 언어 환경에 노출이 되는 것을 가장 이상적이라고 주장하고 그 이후부터는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경우는 사춘기 이전에 영어를 학습한다는 점에서 발음 습득에 있어서 성인에 비해 유리하다. 그러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영어 발음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초등학생들 또한 올바른 영어 발음을 습득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잘못된 발음이 굳어지면 사춘기 이후 교정이 어렵게 된다. 즉, 모국어의 음성 체계가 목표어의 음성 체계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또한 영어의 음소들 간의 차이를 식별해야 할 뿐 아니라 한국어와 영어 사이의 변별적, 음성학적 자질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 분석 가설(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을 통해 영어와 한국어 자음 체계를 대조하고 분석하여 그 차이점과 유사성을 발견하고 영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잘못 발음하기 쉬운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효과적인 발음 지도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영어를 정규교과로 배우기 시작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배우는 배경 환경을 조사하고 학생들이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마찰음 /f/, /v/, /ɵ/, /ð/, /s/, /z/, /ʃ/을 중심으로 발음지각능력과, 발음생산능력 시험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음인지능력이 발음생산능력을 앞섰고 학생들이 가장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마찰음은 치간음인 /ɵ/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오류 양상은 모국어의 영향을 받았고 한국 어린이들이 범하는 마찰음 오류 양상을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이들의 오류 양상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사한 오류를 범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이나 언어학자들은 한국어린이들이 영어를 배울 때 범하는 오류 양상을 예상 할 수 있고 그에 따르는 효과적인 영어지도 방법을 찾을 수 있겠다. 따라서 선생님은 한국어와 영어 사이의 변별적, 음성학적 자질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학생들에게 영어의 유성화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영어에서 마찰음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영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발음들이 존재하므로 한국어와 영어의 조음방식 및 조음부위를 비교하는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이들이 늦게 습득하는 음소들이 있으므로 한국어린이들에게도 단계별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선생님이 학생들의 음성을 녹음 후 Praat과 같은 음성분석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함께 확인하는 지도도 유용하다.
Author(s)
Ji-Hye Park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Keyword
phonological patterns English fricatives Korean childre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87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692
Alternative Author(s)
박지혜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John Stonham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ⅱ
Ⅰ. INTRODUCTION 1
Ⅱ. LITERATURE REVIEW 5
2.1 Critical Period Hypothesis (CPH) 5
2.2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CAH) 8
Ⅲ. METHODOLOGY 14
3.1 Subjects 14
3.2 Speech material 16
3.2.1 Perception Test 16
3.2.2 Production Test 17
3.3 Limitations 18
Ⅳ. ANALYSIS 19
4.1 Perception 19
4.2 Production 21
Ⅴ. DISCUSSION 36
Ⅵ. CONCLUSION 42
References 45
Appendix A 49
Appendix B 51
Appendix C 54
Appendix D 55
Appendix E 5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