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pathological relationship among high temperature, laparotomy and liver condition in sturgeon, Acipenser ruthenus
- Alternative Title
- 철갑상어의 간 상태에 따른 개복술 및 고수온과의 조직병리학적 관계
- Abstract
- 어류의 외과적 치료법에 대해 연구한 많은 문헌에서, 상처의 회복에 있어 내부 장기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들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고가 어종 혹은 관상어의 경우 외과적 치료법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고, 그에 따라 개발이 이루어 졌을 때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그 외과적 치료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개복술을 사용하여 절제부터 회복기까지 나타나는 장기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철갑상어는 겉으로 암수구별이 쉽지 않아 이미 복강경 혹은 개복하여 성별을 구분하기도 하고, 고가의 알 때문에 생식 주기까지 사육한 후에 알만 빼낸 뒤 다시 봉합하여 양식하는 등의 이미 외과적인 시술을 사용하고 있는 어종 중 하나다. 하지만, 철갑상어에서의 외과적 시술이 어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직병리학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실험은 새로운 어종에 개복술을 적용하기 보다는, 외과적 시술이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어류에 행하여 조금이나마 현장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다른 외과적 치료법의 개발에 있어 응용 가능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은 개복하지 않은 구간과, 개복만 한 구간 및 (간의 상태가 실험기간 동안 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개복 후 간을 절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거기에 추가적으로 고수온을 통해, 향상된 생리활성을 유도하여 봉합 부위의 회복 정도와 여러 내부 장기들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조직병리학적으로 나타나는 유의성을 관찰하고자 했다. 실험에는 30마리의 철갑상어가 사용됐으며, 실험 기간 동안 폐사한 개체는 없었다. 혈액학적 결과는 각 군 내에서의 시간에 따른 차이 외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직병리학적 결과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개복 한 구간의 두신 내 세망내피계 활성화, 상처 부위 아래 지방 조직의 백혈구 침윤 지수 감소 및 비장에서 유약적혈구의 빈도 수 증가가 나타났다.
단순 실험군간 비교는 그 유의성이 많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실험 결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개복 구간과 간 절제 구간을 묶어서, 간의 상태에 따른 저수온과 고수온 실험군 사이의 통계학적 자료로 산출되었다. 그 중 4주째의 고수온 실험군에서 비장 내 미성숙 적혈구 빈도 수 증가를 동반하며, Hematocrit, Hemoglobin의 수치가 적정 수온에 비해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두신 내 세망내피계의 활성화가 대조군 및 적정 수온에 비해 4주차까지 지속되는 반면, 체신의 근위 세뇨관에서는 부종이 많이 관찰 되었다. 이 같은 결과들은 고수온에서 상처를 회복하는 능력이 적정 수온에 비해 상승하지만, 과하게 유도된 생리활성이 체신의 근위세뇨관에 타격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간의 조직병리학적 화상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 했을 때, 두신 내 세망내피계의 활성화와 상처 부위의 백혈구 침윤 정도가 같은 군 내에서도 간 조직의 상태 별로 차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추후 외과적 치료법 개발이나 고급 어종을 이용한 실험을 구상 할 때, 초점을 맞출 내부 장기 선정에 있어서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Author(s)
- 강경식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Fish surgery Sturgeon histopathology Sturgeon hematology Laparotomy in fish Surgical procedure in fish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91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1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수산생명의학과
- Advisor
- 허민도
- Table Of Contents
- 요 약 iv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3
2.1. Experimental animals 3
2.2. Aquarium conditions 3
2.3. Laparotomy and liver extraction 3
2.4. Hematological analysis 6
2.4.1. Alkaline phosphatase 6
2.4.2. Complement activity 6
2.4.3. Cortisol 6
2.4.4.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7
2.4.5. Hematocrit 7
2.4.6. Hemoglobin 7
2.4.7. Lysozyme activity 7
2.4.8. Total protein 7
2.5. Histopathological analysis 7
2.6. Image analysis 7
2.7. Statistics analysis 7
III. Results 9
3.1. Clinical results 9
3.1.1. Condition factor 9
3.1.2. Hepatosomatic index 11
3.2. Hematological results 12
3.3. Histopathological results 13
3.3.1. Anus 13
3.3.2. Body kidney 13
3.3.3. Brain 13
3.3.4. Eye 13
3.3.5. Gall bladder 13
3.3.6. Gill 13
3.3.7. Gonad 13
3.3.8. Head kidney 13
3.3.9. Heart 14
3.3.10. Intestine 14
3.3.11. Liver 14
3.3.12. Muscle 14
3.3.13. Muscle of under suture 14
3.3.14. Pancreas 14
3.3.15. Pyloric caeca 14
3.3.16. Skin 14
3.3.17. Spleen 14
3.3.18. Stomach 14
3.3.19. Swim bladder 14
3.4. Statistical results 37
3.4.1. Image analysis 37
3.4.1.1. Head kidney activation rate 37
3.4.1.2. Leukocyte infiltration rate in muscle 38
3.4.1.3. Proximal tubule length in body kidney 39
3.4.2. Liver condition based analysis 40
3.4.2.1. Liver condition based hematocrit 40
3.4.2.2. Liver condition based hemoglobin 41
3.4.2.3. Liver condition based head kidney activation 42
3.4.2.4. Liver condition based leukocyte infiltration rate in muscle 43
IV. Discussion 44
V. Summary 46
VI. Acknowledgement 48
VII. References 4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산생명의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