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stolonifera inhibit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on B16F10 melanoma cell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cklonia stolonifera로 부터 분리된 플로르탄닌의 타이로시나아제 저해활성
Abstract
멜라닌은 태양 복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이다. 인간의 피부에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 여러 색소 침착 질환이 발생한다. 타이로시나제는 피부의 과 색소 침착을 담당하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주요 조절자 역할을 한다. 본 연 구에서는 곰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이 버섯 타이로시나제, 세포 타이로시나제 및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있어서 억제 효과를 하고자하 규명 하 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곰피 에탄올 추출물의 EtOAc 분획으로부터 7개의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그 중 4가지 화합물 인 bieckol, dieckol, phloroglucinol, 2-phloroeckol은 버섯 타이로시나제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보였다. 2-phlororeckol 은 IC50 값이 9.33 ± 0.042 μM 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고 dieckol 의 IC50 값은 61.81 ± 1.27 μM로 두 번째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kojic acid 의 IC50값은 75.32 ± 4.57 μM 이었다. Lineweaver-Bark plot 의 결과는 2-phloroeckol 과 dieckol이 버섯 타이로시나제에 혼합형 억제제이고 억제 상수 (Ki) 가 각각 6.87 μM과 41.26 μM 로측정되 었다. 킹 분석 에 따르면 버섯 타이로시나제에 대한 2-phloroeckol 과 dieckol 의 결합 에너지 값은 각각 -8.00 Kcal/mol과 -2.6 Kcal/mol이었다. 또한 2-phloroeckol 과 dieckol 은 α-MSH로 자극로니 B16F10 세포의 타이로시나제를 억제하였으며 IC50 값은 각각 72.88 ± 2.09 μM 과 164.66 ± 2.57 μM 이었고 kojic acid 의 IC50 값은 267.06 ± 3.90μM 이었다. 2-phloroeckol 과 dieckol 은 α-MSH로 자극로니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각각 80 μM 과 50 μM 에서 37 %와 21 %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2-phloroeckol 과 dieckol 이 피부 미백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사사하고 있다.
Author(s)
SAMSUZZAMAN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93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65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생명과학과
Advisor
Hyeung-Rak Kim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5
1. Chemicals and reagents 5
2. Isolation of phlorotannins from Ecklonia stolonifera 5
3.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8
4. Kinetics analysis of 2-phloroeckol and dieckol against mushroom tyrosinase 9
5. Molecular docking simulation in tyrosinase inhibition 10
6. Cell culture 11
7. Cellular tyrosinase inhibition assay 11
8. Cell viability assay 12
9. Melanin content inhibition assay 12
10. Statistics analysis 13
III. Results 14
1. Preparation and isolation of phlorotannins 14
2.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hlorotannin 16
3. Determination of inhibition type from kinetic analysis 19
4. Docking analysis 22
4-1. Docking simulation with 2-phloroeckol 22
4-2. Docking simulation with dieckol 23
5. Cellula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2-phloroeckol and dieckol 28
6. Cytotoxicity of 2-phloroeckol and dieckol in B16F10 cells 31
7.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2-phloroeckol and dieckol 33
IV. Discussion 35
V. Conclusion 40
VI. References 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생명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