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izandrin A 보충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혈장지질, 간조직 지질 축적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Effects of Schizandrin A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 profil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in mice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Abstract
- Schizandrin 물질은 Schisandra chinensis 의 lignan 성분으로써 Schizandrin (SCH) A, B 그리고 C 로 나뉜다. 이 중 SCH B 의 간 보호 효능이 이미 여러 연구들을 통해 알려져 있고 SCH C 는 항신경염증 및 알츠하이머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 최근, SCH A 가 면역 작용을 향상시킨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SCH A가 비알콜성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에서 SCH A 보충이 혈장과 간 조직 지질 축적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57BL/6J 마우스를 1주간 pellet 형태의 lab. chow 식이를 제공하여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SCH A 실험물질을 보충한 SCH A 군으로 나누어 실험물질을 15주 동안 급여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 마우스에서 SCH A 보충이 체중, 식이 섭취량, 식이 효율 및 장기(신장, 간) 와 다양한 부위별 백색지방조직(부고환 백색지방조직, 신주위 백색지방조직, 후복강 백색지방조직, 장간막 백색지방조직 및 피하의 백색지방조직) 무게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었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수치 역시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SCH A를 보충한 식이군에서 혈장 유리 지방산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장 중성지질 농도도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SCH A 보충이 간조직의 유리지방산,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간조직에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효소들 중, 지방산과 중성지질 합성에 관여하는 fatty acid synthase와 phosphatidate phosphatase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SCH A 보충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 PPARα 와 CPT1a 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했으며 분변의 유리 지방산 및 중성지질 배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CYP7A1 와 ABCA1 의 발현이 SCH A 보충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간의 콜레스테롤로부터 답즙산 생합성이 촉진되고 간 조직의 콜레스테롤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SCH A 보충은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그리고 glutathione peroxidase 의 활성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SCH A 보충이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를 통해 간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CH A 보충이 간조직의 지질 대사 효소 활성도와 유전자 발현 조절 및 분변 지질 배설 증가를 통해 간조직의 지질 축적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소 활성화를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으로써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알콜성지방간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정미지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오미자 시잔드린 A 고지방식이 고콜레스테롤식이 비알콜성지방간 생리기능성물질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94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918
- Alternative Author(s)
- Mi Ji Je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임상영양학과
- Advisor
- 정운주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1-1. Purpose of study 1
1-2. Background 3
1-2-1. Pathogene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3
1-2-2.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4
1-2-3.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6
Ⅱ. Material and method 8
2-1. Experimental mouse model and diets 8
2-2. Blood analysis 10
2-3. Analysis of hepatic and fecal lipids 10
2-4. Hepatic enzyme analysis 10
2-5.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 11
2-6.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11
2-7. Morphological analysis of liver fat 12
2-8. Statistical analysis 12
Ⅲ. Result 14
3-1. Effect of Schizandrin A on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food efficiency ratio and adipose tissue weight in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and fed C57BL/6J mice 14
3-1-1. Effect on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14
3-1-2. Effect on diverse white adipose tissue weight 16
3-2. Effect of Schizandrin on plasma, hepatic and fecal lipid profile 17
3-2-1. Effect on plasma lipid profiles 17
3-2-2. Effect on hepatic lipid profiles and liver morphology 18
3-3. Effect on fecal lipid profiles 19
3-4. Effect of Schizandrin on hepatic enzyme activity related to lipid metabolism 20
3-5. Effect of Schizandrin on mRNA gene expression measured by RT-qPCR analysis in liver 21
3-6. Effect of Schizandrin on activation of anti-oxidation 22
Ⅳ. Discussion 23
4-1. Effect of Schizandrin A on lipid metabolism 23
4-2. Effect of Schizandrin A on oxidative stress 25
Ⅴ. Conclusion 26
Ⅵ. Reference 2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임상영양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