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타워크레인 재해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Tower Crane Disaster at Construction Site
- Abstract
- 최근 초고층 빌딩건설 붐이 일면서 그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고소작업이 증가되고 있으며, 도심지의 초고층 빌딩, 고층아파트, 플랜트 공사 등 고층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와 산업설비에서 이동식 중장비의 활용이 어려운 협소한 장소 그리고 중장비의 활용이 원활한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동력계 크레인 중 하나이다. 그리고 타워크레인은 공사의 초기에 설치되어 마지막까지 사용되며, 공정에 필요한 수많은 자재를 반복적으로 운반해야 되는 역할을 현장에서 하고 있다. 그러나 타워크레인의 구조는 기초에 비해 긴 마스트와 상부에 설치되는 타워헤드, 지브 등으로 크레인 상부가 매우 무거운 불안정한 구조로 되어있는 강구조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사 초에 설치작업,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크레인의 높이도 높여야하는 상승작업, 공사 완료 후 크레인 해체 작업 등 작업마다 불안정한 위치에 있으며 사용자와 관리자의 실수가 공사장 내에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몇 안 되는 건설 기계에 해당된다.
동력계장비인 타워크레인의 위험성은 매우 높은 편에 속하고 그로 인한 대형 사고들이 즐비하게 일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사고는 사람에서 시작해서 사람으로 끝나는 가해자도 피해자도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워크레인 관련 사고들도 철저한 계획과 교육 및 점검이 이루어지고 시설적인 부분이 더해진다면 안전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skyscrapers has become a boom, and as a result, It is one of the dynamometer cranes used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high-rise buildings, high-rise apartments and plant construction in urban areas, and in narrow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mobile heavy equipment in industrial facilities and when utilization of heavy equipment is not smooth.
And the tower crane is installed at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and is used until the end, and it plays a role in the field of repetitive transportation of numerous materials required for the process.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tower crane is a steel structure with a long mast compared with the foundation, a tower hea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jib, etc.,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rane is very heavy and unstable structure. As a result, installation work at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elevation of the crane due to the eleva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elevation of the crane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dismantling of the crane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etc. are unstable in each operation. It corresponds to a few construction machines that can be built. Most of the accidents are people who start from people and end up with people, even victims are people. If the tower crane related accidents are thoroughly planned, educated and checked, and the facility parts are added, it will be very helpful to prevent safety accidents.
- Author(s)
- 송필용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96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91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안전공학과
- Advisor
- 신성우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4
1.3 선행 연구 고찰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2.1 타워크레인의 개요 9
2.2 타워크레인의 구조적 특성 11
2.3 타워크레인 작업 안전 수칙 16
2.4 타워크레인 작업의 위험성 19
제 3 장 타워크레인 재해사례 21
3.1 타워크레인 재해사례 21
3.2 타워크레인 재해사례 분석 23
3.3 타워크레인 재해사례 위험성 평가 27
3.4 재해분석결과에 따른 재해예방 방법제안 29
제 4 장 타워크레인 실태 조사 및 분석 43
4.1 설문조사 개요 43
4.2 조사 내용 43
4.3 조사 결과 및 고찰 분석 45
4.4 분석 및 토의 77
제 5 장 결론 80
참고문헌 82
부록 8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